-
-
AI 시대 생존 전략 - 구글 AI 엔지니어가 공개한 AI 활용 비법
세가 쳉 지음, 홍민경 옮김, 샤오위핀 정리 / 더페이지 / 2025년 2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AI 시대 생존 전략
구글 AI 엔지니어가 공개한 AI 활용 비법
세가 쳉 (지은이), 홍민경 (옮긴이), 샤오위핀 (정리) 더페이지 2025-02
AI 시대가 왔습니다. 벌써 사라지는 직업과 업무영역들이 나오고 있지요. 인간 개인은 어떻게 될까요. 1장에서 개인은 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위로합니다. (위로를 받으면 웬지 지는 것같습니다)
PART 01. 직장과 업무: AI가 표준이 될 때 개인의 특징은 더 중요해진다
AI를 다룰 줄 아는 자가 당신의 자리를 노린다
생성형 AI,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변하지 않는 것의 가치
미래에 당신의 동료는 로봇일지도 모른다
AI 시대가 오면서 많은 사람이 ˝내 자리는 어떻게 될까?˝라는 걱정을 합니다. 젊은 세대는 AI를 쉽게 받아들이고 이용도 잘 하겠지만 기존 방식에 찌들어 있는 우리 중년은 변화가 버겁고 난감하기만 합니다. 책에서는 ˝AI를 다룰 줄 아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을 대체할 것이다˝라고 강조합니다.
컴퓨터가, 엑셀이, 인터넷이 나왔을 때 어떻게든 버텼다면 AI의 출현에도 걱정할 필요없습니다. 빨리 이용하면 되는거지요.
AI가 우리의 경쟁자가 아니라 조력자가 되어야 하고, AI를 잘 쓰는 사람이 경쟁자인겁니다. AI세상이 될수록 ‘자아 인식‘이 더 중요해집니다.
PART 02. 학습과 사고: AI와 공존해도 당신의 뇌는 아웃소싱될 수 없다
제너럴리스트가 되어 전문 영역 파헤치기
AI가 일상이 되면 인문학의 욕구는 더 강해진다
논리력, 표현력, 언어 능력이 성공의 관건이다
‘문제 해결’은 가장 효과적인 학습이다
‘올바른 질문하기’는 최고의 능력이다
깊은 대화의 시작은 훌륭한 스승에서 비롯된다
새의 언어패턴을 연구하는 전문가가 데이터들을 AI에 입력하여 패턴을 찾아낸다고 합니다.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AI를 활용하고 응용할 수 있습니다. AI를 증폭기로 이용하라고 합니다.
인터넷 시대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의 주의력이 산만해지기 시작했고, 메모와 필기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감정을 가라앉히고, 스트레스를 풀고, 휴식을 취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식 중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117p, 논리력, 표현력, 언어능력이 관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질문하는 법을 배워야합니다. AI가 있든 없든 필요한 과정입니다.
특히 AI는 질문에 따라 답이 달라집니다. 얼마나 명확하고 논리적인 질문을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프롬프트를 연구하는 분야도 나왔습니다.
회사에서 ˝왜 이렇게 됐어?˝라고 묻는 것과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런 마케팅을 하면 어떨까?˝라고 묻는 것은 다른 결과를 가져옵니다. AI도 같습니다. AI에게 무의미한 질문을 던지면, 무의미한 대답을 내놓습니다. 문제 해결을 목표로 올바른 질문을 해야 합니다.
PART 03. 비즈니스와 경영: AI의 장단점 파악하고 이용하기
‘가치를 추가’하면 변신은 필요 없다
생성형 AI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I 전략보다 데이터 전략이 먼저다
‘AI 대뇌’로 사용자의 신뢰 확보하기
AI의 대두에 중요한 부분은 ‘어떻게 활용하느냐‘입니다. AI를 활용한 기업들의 다양한 사례를 들면서, 데이터 전략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역사와 경험이 중요했습니다. 이제 경험보다 데이터를 얼마나 잘 분석하고 활용하느냐가 경쟁력이 되었습니다. AI가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서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최적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최적의 결론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제 AI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데이터를 읽을 줄 아는 인간’이 되어야 합니다.
PART 04. 현재와 미래: AI 기술의 이해는 현재 진행형이다
AI 로봇과 AI 의료시대가 도래하다
‘간결할수록 좋은’ AI 설계
빅테크 기업의 속셈 들여다보기
데이터 보안과 AI 신뢰도가 가장 중요하다
아직 AI에 낯설어하는데 다가올 미래가 나옵니다. AI 의료, AI 로봇, 데이터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판결과 법정에 AI를 도입하면 좋겠습니다.
인간은 윤리적 판단, 최종 결정, 검증을 할 수 있습니다. 사실 그것조차 AI가 모두 정헤놓고 사지선다로 고르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요
모든 디지털의 본질은 더 정교한 방식으로 주의력, 거래, 데이터를 빼앗아가는 것이다.
278p, 빅테크 기업의 속셈
책을 읽으면서 막연히 재미있고 유용한 도구라고만 생각한 AI가 완전히 다르게 느껴집니다. 특히 마지막에 샐리 앤 테스트를 가볍게 통과했다는 이야기는 (그 테스트가 무엇인지 몰라도) 무서운 미래가 될 것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