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라 뽑은 입보리행론송 - 삶의 지혜와 마음의 평화를 주는 명상시
산티데바 지음, 원인 옮김 / 민족사 / 2024년 10월
평점 :
글이 쩌렁쩌렁 울립니다. 도대체 누구이길래 이렇게 영혼을 울리는 건가 찾아보니 인도 중기의 샨티데바, 적천 스님입니다.
샨티데바는 왕자로 태어나 왕위 계승 전날 문수보살을 꿈에 뵙고, 모든 것을 버리고 떠나 12년간 수행을 합니다.
이 경이 나오게 된 이유가 전설로 내려옵니다. 나란다 대학의 사람들이 게으르고 무능하다고 판단하여 망신주기 위해 설법을 요청합니다. 그 자리에서 하신 말씀입니다.
한문장 한문장이 암송하기에 적합합니다. 게다가 전문에서 원인스님이 핵심만 ‘골라 뽑은‘ 정수입니다.
슬슬 읽어보면 20분이면 다 읽을 분량인데 내용이 깊이가 있어 자꾸 멈추고 생각하게 합니다.
모두 374구의 게송이 들어있습니다. 보통 책을 읽으면서 좋은 구절을 표시해놓고 두번 읽을 때에 와닿는 부분을 적어둡니다. 그러나 십여페이지를 읽다가 드디어 포스트잇을 더 붙일 수 없다고 느껴 전부 떼어버렸습니다.
10개의 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1장은 보리심을 찬탄합니다. 부처님 법은 만나기도 어려운데 이런 기회에 정진하여야 한다는 좋은 말씀입니다.
우리에게 선한 기운은 약하고
악업의 힘은 너무나 강렬하다.
여기 위대한 보리심이 아니라면
어떤 선도 악을 조복 받지 못한다.
15p,
선악의 개념이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 둘다 치우진 것으로 봅니다.
2장은 죄업을 참회합니다. 정성, 내가 가진 것, 악업, 죄업, 마음, 향락, 사람, 모든 것을 내려놓고 참회를 합니다.
3장은 보리심을 가지는 방법입니다. 중생을 위하는 마음을 일으킵니다. 안락함, 고달픔, 배고픔, 아픔, 불신, 비방, 조롱, 모함, 악담, 모든 것을 다 받아서 베푸는 큰 마읍을 일으킵니다.
4장은 보리심을 닦는 법입니다. 쉽지 않습니다.
주술에 걸려 정신이 혼미하면
자신의 의지와 생각을 잃게 되어
누가 나를 이렇게 한 줄 모르고
끝없는 고뇌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53p,
내가 흐리멍텅한 것을 주술에 걸렸다고 위로해줍니다. 살면서 의지와 생각을 잃고 정신없는 적이 많이 있습니다. 모든 상황이 고뇌의 연속입니다.
사랑과 미움이라는 나의 원수는 손발도 없고 용맹하지도 않으며, 지혜롭거나 자비롭지도 않은데 그들은 나를 몸종으로 부린다.
54p,
사랑과 미움을 한묶음으로 엮은 것이 대단합니다. 숱한 인생의 장면들이 떠오르지 않나요.
5장은 계율입니다. 파괴하는 무기, 괴롭히는 행동, 모함하는 악담, 악인과 어울림 등은 쉽게 빠지는 함정이지요. 육체의 병이 있으면 행동이 부자연스러운 것처럼 정법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길을 바로 갈 수가 없습니다.
6장은 고행에 대한 인욕입니다. 분노, 성냄을 경계하고 인욕합니다.
모든 것은 연을 따라 움직이기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없다.
이처럼 허깨비 같은 허상에 대해 분노함이 무슨 소용 있겠는가.
허상에 분노할 의미는 없지만 분노가 일어나면 억제해야 한다.
만법의 본질은 지을 것 없으나 괴로움을 멈추는 노력은 인정된다.
104p,
일어나는 모든 일을 인연에서 보고 일어난 일을 허상적 경계로 바라봅니다. 참 멋진 관점입니다.
7장은 위없는 도를 정진합니다. 탐진치에 대해서는 인욕하고 도를 위해서는 정진해야 합니다. 지극한 선을 실행하는 것인데 반대는 게으름, 오만, 애착, 방일, 낙심입니다. 쉽게 보기 어려운 경계입니다.
8장은 미혹을 소멸하는 선정입니다. 지止를 통해 마음을 고요히 하고, 관觀의 힘으로 번뇌를 끊어야 합니다. 그헐게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와야 하는데 명상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마치 벌이 꽃에서 꿀만 모으듯 바른길에 필요한 것만 수용하라.
저 하늘 고고하게 빛나는 달처럼 세상에 처하더라도 물들지 말라.
154p,
세상에 집착하면 만족을 할 수가 없습니다. 선악을 넘어선 곳에 깨달음이 자리하나 봅니다.
9장은 깨달음으로 가는 지혜입니다. 그러고보니 6바라밀을 이야기합니다. 읽다보니 이해가 됩니다. 그 시절에 이미 육바라밀이 형성되어 있었네요.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학창시절 외웠던 것이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10장은 보리심을 회향합니다. 역시 불경의 마무리는 회향이죠. ˝누구나 이 법문 듣고 해탈하여라!˝ 멋진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