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의 마인드셋 - 최고의 노인정신과 전문의가 말하는 60 이후 행복을 결정하는 7가지 태도
와다 히데키 지음, 이은혜 옮김 / 현대지성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 나이가 50대 중반이라 60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60세의 마인드 셋이라니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배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60이 넘으면 뭔가 초라하고 검소하게 살아야 할 것 같은 인상이 있습니다. 저자도 그 점을 콧짚어줍니다.
노인들이 스포츠카를 몰고 화려한 옷을 입는 것을 왜 조심해야 하는가, 오히려 적극적으로 해야 되는 게 아닌가 이야기합니다.
와다 히데키 선생은 70세의 정답, 80세의 벽 등 어르신 시장을 겨냥한 책들을 매년 한두 권 이상 내고 있습니다. 24년에만 3권이 나왔습니다.

인간의 두뇌를 쓰면 쓸수록 활성화된다.
19p
흔히 노화가 진행되면서 아껴써야 한다, 과도하게 사용하면 안된다는 선입견을 가지게 됩니다. 그것도 그럴듯한 것이 인간의 부품(부속?)은 소모품이기 때문입니다. 근육, 관절, 뼈 등은 조심스럽게 다루고 소중하게 하는 것이 맞는데 두뇌만은 다른가 봅니다.

1장에서는 아낌없이 소비하라는 가르침입니다. 이 무슨 내일이 없는 소리인가 하겠지만, 지금의 행복과 건강을 찾으라는 겁니다. 멋진 말들이 나옵니다.
돈은 통장보다 지갑에 있을 때 빛이 난다,
건강해지기 위해 돈을 써라,
다 쓰지도 못할 돈을 모으다니,
80세 전에 가진 돈을 모두 써라...
무책임해 보이지만 시원한 말들입니다. 건강과 행복에 투자하는 것은 낭비가 아니라 실리입니다. (웬지 세뇌되는 느낌이긴 합니다)

2장은 배우자와 자식으로부터 독립입니다. 과연 나는 누구의 삶을 살고 있느냐를 생각해보라고 합니다. 자식, 부모, 배우자 모두 각자의 삶이 있는데 내가 챙겨야 한다느니, 혹은 기대야 한다는 생각이 시작부터 틀린겁니다. 재산을 물려줄 생각도 하지 말고, 노년에 자식에게 부양받으려고도 하지 말아라. 이건 뭐 엄청난 강요력입니다.
거기에 부부는 절대 같이 하려고 하지 말라고 주장합니다. 속박하지 말고 각자 자유롭게 삳다가 80세 이후에 기력이 떨어질 때 서로 거들고 의지하라고 합니다. 좋은 생각입니다. 부부는 남입니다. (하지만 왜 그렇게 참견을 하는지...)

3장은 건강검진이 큰 의미가 없다는 저자의 강한 소신이 들어있습니다. 수술받기 전에 의사가 돈을 받는다느니, 갑의 입장에서 환자를 우습게 보는 등의 일본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깜짝 놀란 점은 ˝활력이 부족하다면 약부터 끊어라!˝입니다. 이 말은 참 맞는 말입니다. 주변에 정말 별별 약을 먹는 사람들이 많은데 의외로 너무 몸이 안좋아서 약을 끊었더니 확 좋아졌다고 합니다.
다양한 약을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하지만 호르몬치료는 좋다고 합니다. 고기도 적극 권유합니다. 그러다가 60대 이전에는 금연을 해야하지만 70세 이후에도 담배를 핀다면 계속 펴다 좋다고 합니다. 뭐랄까 소신이 확실한 사람입니다. 올바른 말을 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을 진료하면서 얻은 경험에서 자신있게 이야기하니 시원합니다. 주변에 이런 재미있는 친구가 있다면 자주 만나 가르침을 들을 것같습니다.

당위적 사고 should thinking라는 개념이 있다. 당연히 무언가를 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을 뜻한다. 타인에게 기대면 안 된다거나 주어진 일은 철야를 해서라도 끝내야 한다는 식의 강박사고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처럼 당연히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준이 있었다면 이제는 미련 없이 내려 놓자.
177p
무언가를 하려고 할 때 이렇게(!) 하는 것이 순서야, 이게 맞는 방식이야 하는 쓸데없는 당위적 사고를 저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왜 그래야만 할까요. 남들과 다르게 특이한 일을 하면 안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었던 겁니다.

시원하고 명랑한 독서였습니다. 해마다 수권의 책을 내시니 이제는 믿고 보는 와다 히데키의 ˝60세의 마인드셋˝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를 읽는 30일 : 작은 아씨들 - Little Women 영어를 읽는 30일
루이자 메이 올콧 원작, 이지영(리터스텔라) 해설 / 길벗이지톡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내용을 30대목으로 추렸다니 참 멋진 아이디어입니다. 30장면으로 중요한 부분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빨간머리앤이 생각보다 너무 어려운 영어라서 시작부터 좌절했었는데 작은아씨들은 영어가 읽힙니다. 다행입니다. (하지만 한글이 잘 읽힙니다)

큐알코드로 찍으면 바로 영어원문을 읽어줍니다. 가볍게 2분27초로 첫번째 대목을 읽어줍니다. 다시 9분 가량 저자 직강의 핵심강의가 이어집니다. 중요문장을 짚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30장의 한글 해석과 영어 원문, 그리고 해설, 줄거리의 보충으로 이어지는 구조라서 해설 부분을 말로 들려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글과 말이 다릅니다. 책을 저자가 다른 느낌으로 풀어주는 것이 웬지 두배로 이익인 기분이 듭니다. 꼭 음성강의를 들어봐야합니다.

2일에 배고픈 이웃에게 네자매의 아침을 주기로 합니다. 영화에서는 가볍게 도움을 주는 것같았는데 자신들이 먹을 음식을 주는 거였습니다. 그래도 다 주는 것은 아닙니다. 빵과 우유는 조금 남아있나봅니다. 역시 책의 저자 해설글과 영상강의가 내용이 다릅니다.
명작의 한 대목을 읽은 후에 해설을 들으니 들어오는 내용도 좋고 여운도 남아 상당히 괜찮은 방식입니다.

3일 해설에 ‘적극적인 읽기‘가 멋진 읽기 방법이네요. laughing, talking 같은 딘어가 그냥 쓰인게 아니었습니다. 음성강의에 작심삼일을 이야기하는데 맞습니다. 3꼭지를 읽고 들으니 지칩니다. 이렇게 10일을 하면 다 읽어나가겠지요.

4일 파티입니다. 사소한 행동으로 메그와 조의 성격이 그대로 들러나는 것이 재미있습니다. 이런 평범한 동작에서 흥미를 끄는 전개가 좋습니다. 작은아씨들. 명작이네요. (미드 프렌즈에서 조이가 읽다가 우는 장면이 생각납니다)

5일차에 바다의 노인이 나오길래 아는 사람이다 하고 봤는데 헤밍웨이가 아니라 신밧드의 노인이랍니다. ‘작은아씨들‘은 루이자 메이 올컷의 1868년 출판입니다. 노인과 바다는 1952년입니다. 아씨들의 아버지가 참전한 전쟁도 1, 2차 대전이 아니라 미국 남북전쟁입니다.

8일 이웃이 된다는 것에 로리가 조에게 꽃을 줍니다. 어머니가 보내주신 약이 좋았다는 말은 상당히 멋진 비유입니다. 뭔 소리인가 했는데 해설에서 충분히 설명해줍니다.

10일 대목에 로렌스가 베쓰에게 보내는 선물과 피아노는 감동입니다. 옆집의 키다리아저씨군요. (키다리아저씨도 1912년이네요. 오히려 이 책에서 영감을 받은걸까요)

이런 명작은 언젠가는 영어로 읽어야지 하는 생각을 가지고만 있었습니다. 정작 이렇게 중요대목을 나눠서 읽어보니 옆의 한글번역이 정말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이런 구성이 참 괜찮습니다. 다른 명작도 이렇게 나오면 좋겠습니다.

문단을 듣는데 3분이내여서 좋습니다. 두번, 세번 들을 수 있어 더욱 유익합니다. (유튜브 만세로군요) 강의는 10분내로 책의 해설과는 또다른 느낌을 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를 읽는 30일 : 빨강 머리 앤 - Anne of Green Gables 영어를 읽는 30일
이지영(리터스텔라) 해설, 루시 모드 몽고메리 원작 / 길벗이지톡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빨간 머리 앤 하면 왠지 TV 만화가 연상되면서 멜로디가 떠오릅니다. 원작 이야기가 상당히 쉬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거기에 소설의 명장면 30군데를 찾아서 원문과 함께 해석을 했다니 너무 쉽고 간단하게 핵심에 접근하는 것만같아 설레였습니다.
그런데 첫 문장을 읽어보니 무슨 소린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단어도 어렵고 설명과 묘사가 사람을 나락으로 빠지게 합니다. 이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한글 번역 부분이 더욱 소중하게 여겨집니다. 영어가 봐도 보이지않고 들어도 안들리니 한글을 더 고맙게 읽게 됩니다. 원문은 성우 나레이션으로, 해설은 리터스텔라 직접 녹음한 내용을 들을 수 있습니다. 카메라로 QR코드를 찍으면 바로 들을 수가 있습니다. 이걸 한번 듣고 나면 전체적인 내용이 느낌이 달라집니다.

2일차에 앤과 매슈 아저씨가 만납니다. 제대로된 앤의 수다가 시작됩니다. 말로 천냥 가치를 하는 장면입니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원문 낭독과 해설을 들어나가는데 영상(음성)의 조회수가 한자리 숫자입니다. 1, 2일은 그대로 몇십회인데 불과 4일차부터 지지부진합니다. 저는 최근 ai낭독에 너무 지겨워져서 이렇게 성우가 낭독해주는 것이 너무 고마워서 소중하게 들었는데 그다지 인기가 없나 봅니다.

괜찮아요. 상상을 많이 하고 있어요. 그게 시간을 보내는데 도움이 되거든요. 물론 좀 외롭긴 해요. 하지만 외로운 거에 익숙해지는게 나을거 같아요.
Pretty well. I imagine a good deal, and that helps to pass the time. Of course, it‘s rather lonesome. But then, I may as well get used to that.
68-69p
뜻하지 않게 시고를 치고 앤이 사과를 하게끔 매슈가 묵직하게 인도하는 장면입니다. 그런데 말이 좀 슬픕니다.

브로치사건은 (제가 잘 모르고 있어서) 앤이 참 못된 아이로구나, 고아라서 그런가 이상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확 반전이 있습니다. 앤은 뒷끝이 없는 순수한 아이였습니다. 역시 주인공은 이런 구석이 있어야지요.

그후 사건은 계속 이어집니다. (그래야 이야기가 진행되겠죠) 다이애나에게 산딸기주스를 석잔이나 줍니다. 무슨 주스를 한번에 석잔이나 마실까요. 주스가 아니었습니다. 별것도 아닌데 일이 커집니다.

When I left Queen‘s, my future seemed to stretch out before me like a straight road. I thought I could see along it for many a milestone. Now there is a bend in it. I don‘t know what lies around the bend, but I‘m going to believe that the best does.
제가 퀸스를 졸업할 땐 제 앞에 제 미래가 곧은 길처럼 쭉 뻗어 있는 듯했어요. 그 길을 쭉 가면 수많은 이정표를 만날 수 있다고 생각했죠. 그런데 그 길에 모퉁이가 있네요. 그 모퉁이를 돌면 무엇이 있을지 모르지만, 전 가장 좋은 게 있다고 믿을래요.
297p
정말 명대사입니다. 괜히 드라마를 보다가 눈물이 나는 것같습니다. (늙은건가)
모퉁이를 돌면 앤에게 더 좋은, 멋진 일이 펼쳐지길 기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짜 나를 찾아라 - 법정 스님 미공개 강연록
법정 지음 / 샘터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정스님 법문집이 예전에 몇권 나왔습니다. 문장마다 가슴깊이 울리고 말씀을 듣고 나면 여운이 남아 가끔 생각이 납니다. 집 어딘가에 스님의 책들이 있을건데 보이지가 않습니다. 다시 구입해볼까 하던 차에 미공개! 법문이 나왔다니 무조선 읽어봐야겠습니다.

1980년부터 1999년까지 20년간의 세월 동안에 하신 법문 중의 미공개를 찾아 풀어놓았습니다. (대단하지요. 이걸 녹음하여 간직했었나봅니다) 앞부분은 초기 법문인데도 그다지 미숙한(?) 느낌이 없습니다. 이미 젊으실 때부터 저런 생각을 하고 계셨나봅니다.

꽃에 대한 표현이 멋집니다. 책 곳곳에 꽃에 대한 생각들이 가득합니다. 주변에 흔한 것에 관심을 갖는 섬세함이 놀랍습니다.

꽃은 피어날 때도 아름답지만 질 때도 아름답습니다. 개나리, 옥매화, 모란, 벚꽃... 주위에 핀 꼿들을 보십시오. 이 꽃들은 생과 사에 연연하지 않고 그때그때의 자기 생에 최선을 다하지 않던가요? 이것이 생야전기현, 시야전기현이 전하고자 하는 깊은 뜻입니다.
22-23p

바로 “밖에서 찾지말라˝는 그 깨달음입니다. 질문은 지성知性으로 전개되는데, 답은 지성이 아니라 체험體驗이어야 합니다. 지知를 바탕으로 한 답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의문을 일으키기 때문에 궁극에 이를 수 없습니다.
질문을 멈추어야 비로소 해답이 나옵니다. 침묵을 지켜야 답이 들리기 시작합니다. 답을 얻으려면 침묵이 필요한 것입니다.
82p,
흔히 모르는 것이 있으면 질문을 해라, 질문을 제대로만 해도 정답에 가까워진다고 하는데 그저 가까워질 뿐입니다. 의문을 가지고 계속 질문을 던지라는 것은 속세의 방법이고, 죽음을 넘은 세계를 알려면 질문을 멈추고 침묵을 지켜야합니다. 얼마나 적확한 표현인가요.

‘수많은 생을 두고 쌓은 인연‘편에 좋은 대화의 기본 원칙 3가지가 충격이었습니다.

첫째, 상대방이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합니다
둘째, 텅빈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셋째, 대화를 할 때는 상대방의 생각을 바꾸려고 하지 말아야 합니다.
111-112p
아 저는 다른 사람의 말을 들을 준비가 전혀 안되어있습니다. 내가 말해야 하고, 준비한 이야기를 먼저 하며, 상대를 바꾸려고 합니다. 모든 것을 거꾸로 하고 있었습니다. 많이 반성하게 되는 독서였습니다.

읽다보니 참 글이 좋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게 법문이고 바로 강연에서 말로 한 내용이었습니다. 추천사에 ˝눈으로 활자를 따라가며 읽어도 좋지만, 작게라도 입으로 소리를 내며 읽으면 더욱 맛맛이 느껴질 것˝이라고 써있는데 정말 그렇습니다. 역시 한 시대를 대변했던 선지식의 내공이 살아서 곳곳에서 번쩍거립니다. 알 수 없는 표현으로 깜짝 놀라게 하는 선지식도 대단하지만, 알아들을 수 있는 표현으로 역시 놀라게 하는 스님도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말 속뜻 금강경 - 전광진 교수가 풀이한
전광진 지음 / 속뜻사전교육출판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말 속뜻 금강경
전광진 교수가 풀이한
전광진 (지은이) 속뜻사전교육출판사 2022-01-01

천과 같은 느낌의 표지입니다. 흔한 불경의 비닐가죽느낌이 아미라 좋습니다. 하드커버와는 또다른 감촉을 손으로 체험하는 부드러움이 있습니다. 시작부터 즐겁습니다.
금강경은 당연히 현장스님이 번역했으려니 했는데 구마라집대사의 번역본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읽기가 수월합니다. 한자로 읽으면 그저 만트라인것처럼 비장한 느낌인데 우리말로 술술 읽어보니 잘 넘어갑니다. 오히려 쉬운 문장 속에서 이런 내용이 있구나 하고 또다른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갑니다. 그동안 읽었던 한문음의 금강경은 뜻도 모르고 외국어 주문처럼 음만 따라 읽었던 겁니다. 한자니까 만트라같은 느낌이 듭니다.

불경은 웬지 필사를 하든가 소리를 내어 읽어야할 것같지요. 우리말 풀이가 잘 되어 있어 읽으면 기분이 좋아집니다. 그간 이해도 못히고 읽었는데 이해가 되니 새로운 세상입니다.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그저 전문용어라고만 생각했는데
나만을 생각하는 망상,
나와 남을 치별하는 망상,
나는 중생이라 여기는 망상,
나는 오래 산다는 망상이었습니다.

우리말 번역이라고 안하고 속뜻이라고 표현한 것이 정감이 있어보여 좋습니다. 평범한 해석이 아니라 시를 읽는 것처럼 리듬감있게 읽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