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사랑한 빵집 성심당 - 개정증보판
김태훈 지음 / 남해의봄날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자유로운 느낌으로 써 내려간 내용입니다.
성심당이라는 빵집 이름은 들어봤지만 대전에만 있는 빵집이고, 이렇게나 유명한 빵집인 건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 당연히 성심당 빵은 한 번도 먹어본 적이 없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대전으로 당장이라도 달려가고픈 맘이다.
이 책을 읽고 싶었던 가장 큰 이유는 추천사 가운데 시민경제학의 권위자 루이지노 브루니 교수의 ' 성심당 같은 기업이 100개만 생긴다면 대기업 중심의 한국 경제구조가 바뀔 것이다. 라는 문구 덕분이다.
도대체 ' 성심당 같은 기업' 이라는게 뭘 말하는건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다.
성심당 같은 기업은 바로 지역사회와 공동체에 기여하는 기업, 손님과 직원은 물론이거니와 거래처 심지어는 경쟁사까지 모두의 행복을 1순위로 두고, 나눔을 실천하는 기업인 것이다.
1950년 전쟁 당시 함경도에서 피난길에 나섰던 창업자 임길순씨는 생과 사의 길목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흥남부두에서 '여기에서 살아나면 평생 어려운 이웃을 돕고 살겠다' 고 다짐하고, 그의 이 다짐은 이후 주변의 불우한 이웃에게 빵을 나눠주는 나눔의 손길로 시작해 현재까지 대를 이어 실천해 오고 있다.

지금의 성심당이 있기까지는 우여곡절이 정말 많았다.
특히 창업자의 아들이자 현 대표의 막내동생의 프렌차이저 사업으로 인한 타격과 유럽빵등 웰빙빵의 도입에 따른 빵문화의 변화와 성심당의 대표주자격인 튀김빵에 대한 정크푸드라는 부정적인 인식, 대전의 둔산 신도시 개발로 인한 성심당이 위치한 대전 원도심의 빠른 추락 등으로 인해 엄청난 적자가 이어지고 문을 닫을 위기에까지 봉착하는데, 여기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큰 화재까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화재는 오히려 성심당 내부의 결속력을 한데 묶는 기회가 되는데, 화재 후의 수습 그리고 성심당의 사업존폐를 두고 주인보다 직원들이 더 한데 뭉쳐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주민의 응원에 힘입어 매출이 화재 이후 오히려 급상승하게 된다.
초심을 유지한다는 것은 개인이나 기업이나 정말 어려운 일인데, 성심당은 바로 이 '초심'을 잃지 않고 매순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또 노력해 왔기에, 이렇게 성공한 기업으로 남을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대전 내에서 신세계, 현대 등 대기업으로부터의 최고의 조건, 서울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러브콜이 끊임없이 이어져 오지만, 더 많은 수익과 인지도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전에서 처음 인연을 맺었던 롯데를 저버리지 않고 끝까지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지역을 대표하는 빵집이라는 원칙을 지키고 있다.
이러한 경영철학이야말로 성심당을 지켜온 든든한 버팀목이 되지 않았나 싶다.

1950년대 성심당이 탄생하기 전의 이야기서부터 현재까지, 성심당이 걸어온 이야기는 정말 한 편의 영화와도 같이 극적인 부분도 있고, 베푼만큼 돌아온다는 '기적'도 만나보게 된다.
이야기도 소설을 읽는 듯 쉽게 씌여져 있어서 술술 읽히는데 감동과 감탄을 연발하면서 읽게 된다.
나처럼 성심당을 잘 몰랐던 사람이나, 성심당을 알지만 그 내막은 잘 몰랐던 사람이나, 성심당을 이미 사랑하는 사람이나 다 읽어보면 너무 좋을 책이다. ( 예전에 출간되었고 8년간의 이야기를 더한 개정증보판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