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도 관 속에서 벌떡 일어날 절대 죽지 않는 과학책 - 인류 과학사를 꿰뚫는 스토리텔링 노벨상 수업
이성규 지음 / 블랙피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자유로운 느낌으로 써 내려간 내용입니다. 



블랙피쉬 출판사에서 출간된 < 노벨도 관 속에서 벌떡 일어날 절대 죽지 않는 과학책 > 이라는, 기발하고도 흥미로운 제목의 이 책은 뼛속까지 문과생인 나에게, 도저히 넘지 못할 벽이라고 여겼던 과학에 일단 " 도전 " 만이라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물리학, 화학, 생리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45명의 과학자들의 경이로운 연구 과정을 들여다보고, 이들로 인해 진보된 과학사, 노벨상 수상의 숨은 뒷 이야기나 과학자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읽으면서 드는 생각 ! 요즘 청소년의 독서 수준을 무시하면 안되겠다. 청소년 대상이라서 나름 쉬워 보였는데 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전무한 나에게는 결코 아주 쉽지만은 않으니..

그래도 과학이 우리 생활과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느낄 수 있는데, 과학자들의 뇌는 도대체 어떻게 생겼는지 정말 궁금해진다. 천재들이 많은 만큼 괴짜도 많은 세상이 이들 과학자들의 세상인듯싶다. 


흥미로운 과학자들의 이야기 가운데 가장 인상적인 내용은 바로 '혈액형의 발견' 이다. 


18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사람간의 수혈 후 호전되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발생해도 무엇으로 인해 그 운명이 좌우되는지 원인을 몰랐었는데, 1900년에 란트슈타이너라는 오스트리아의 병리학자에 의해 비로소 그 원인이 '혈액형'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된다.




인간이 서로 다른 혈액형을 지닌 이유 중 가장 강력한 가설은,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를 위해서이고,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잉카제국이라고 한다. 이들의 혈액형은 100% O형이었고 천연두에 취약했기에 때문에 무너질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깨어 있는 시간의 90%를 연구하고, 부검 시체만 해도 3,639구나 될 정도로 치열한 연구와 관찰 덕분에 수술의 확률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되었지만, 1930년에서야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되었고, 외과 의학의 구세주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음에도 그의 명성은 후대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이 참으로 안타깝다. 


그 외에도, X-선의 발견, 무선전신의 발명, 결핵균, 인슐린, 페니실린 발견 등등 당연히 존재해 온 이런 모든 것들이 누군가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얻은 결실이라는 사실에, 이 세상 모든 과학자들에 무한한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 

과학에 흥미를 가진 사람이라면 훨씬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