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을 위한 변론 - 무자비하고 매력적이며 경이로운 식물 본성에 대한 탐구
맷 칸데이아스 지음, 조은영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물에 도통 흥미가 없으니 자연 아는 것도 거의 없는 내가 ' 타인의 사유' 출판사에서 출간된 < 식물을 위한 변론 > 이라는 이 책을 만나보게 된 건 정말 행운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만큼 책의 내용은 더할 나위 없이 흥미롭고 경이롭기까지 하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식물을 변론하는 이유는 식물이야말로 동물이 지구에 나타나기 훨씬 이전에 육지를 정복한 생물이며, 인간이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놀라운 유기체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소개되고 설명된 책이 없다는 게 현실이고, 그렇기에 단 몇 명이라도 식물의 세계에 제대로 빠질 수 있기를 소망하는 바램으로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그렇다면 저자는 처음부터 식물에 매혹되었을까? 천만의 말씀! 저자 또한 예전에는 주로 동물에 큰 관심을 가졌을 뿐, 식물은 지루하다고 생각했었고 채석장 복원 사업이라는 우연한 기회를 통해 식물에 눈을 뜨게 됨으로써 현재의 ' 세계적인 식물 블로거이' 자 ' 인기 팟캐스트의 진행자' 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 정적,수동적 이미지의 식물은 이 책을 통해 상당히 활동적이고 계산적이고 동적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다가온다. 흔히 식물의 번식과정은 나비나 꿀을 통한 수동적 방법에 의해서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한 식물의 경우는 매우 독특한 방식을 이용한다. 꽃가루를 집어든 나방 암컷이 암꽃으로 이동해 꽃가루를 채운 후, 열매 안에 알을 낳는데 이 나방 유충은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된 후 마음대로 이 방을 나올 수가 없다. 이 방의 주인인 식물이 1년 가까이 열매 안에 갇아둔 후, 열매가 벌어질 때 즈음해서야 나방을 풀어준다고 한다. 즉, 이 방식은 나방을 포로로 잡아둠으로써 자신의 번식에 유리한 때 활동하도록 '조종' 한다는 점에서 굉장히 인상적이다.

 

일명 '걷는 야자'라고 불리는 식물도 흥미로운데, 그렇다고 실제로 제 발로 걸어다니는 나무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이 야자의 줄기는 어느 부위에서나 뿌리를 내릴 수 있기 때문에 혹 나무가 쓰러져도 줄기에서 나온 뿌리를 흙으로 내려 보내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장소에 뿌리내리게 된다고 한다. 또한, 야자의 가지가 항상 광원을 향해 기우는 성질로 나무가 쓰러지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 때 걷는 야자는 뿌리를 옆으로 내려 보내 하층부를 지지하게끔 한 후 알맞는 장소에 도착하면 그제야 몸을 똑바로 세우고 위로 자란다고 한다. 너무 경이로운 이 식물 !!!!

 



 

 

 

이 책에 점수를 더 주고 싶은 부분은 바로 사진이다. 느낌이 꼭 어릴 때 식물도감을 보는 듯, 사진도 큼지막하고 선명도도 좋아서 내용과 병행해서 즐기기에 부족함이 없다. 별의별 식물들의 사진을 이 책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정말 식물에 1도 관심없던 내가 이 책 한 권으로 지금까지 놓친 다른 식물책에도 조금 관심이 생겼다는 사실을 저자가 알면 아주 기뻐하시려나...암튼 동물의 세계 이상으로 흥미로운 식물의 세계와의 만남이었다.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자유로운 느낌으로 써 내려간 내용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