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의 역사 6 - 흔적 : 보잘것없되 있어야 할 땅의 역사 6
박종인 지음 / 상상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상출판의 서포터즈 활동 덕분에 땅의 역사 시리즈를 계속 만나오고 있는데, 덕분에 잊고 있었던 역사책에 대한 재미를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는 고마운 책이다.

이전의 시리즈도 다 재밌게 읽었는데 특히 이번 6편은 '보잘것 없되 있어야 할' 이라는 부제를 토대로, 조선시대~근대까지의 역사를 거쳐 현재에도 남아있지만, 너무도 하잘것 없어 아무도 그 존재 자체를 눈여겨 보지 않았던 다양한 흔적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목차만 봐도 관심가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중국에 바친 공녀, 나에게는 전철역 이름으로 더 익숙한 봉은사에 남은 조선 불교의 대참사 흔적, 단종 복위 운동과 관련된 피끝마을, 정조가 은폐한 사도세자에 대한 기록들, 간서치 이덕무의 죽음에 얽힌 이야기, 고종과 순종 그리고 덕혜옹주 이야기 등등..

 


 

 

이 가운데 특히 인상적인 내용 몇 가지를 들자면,

먼저 우리가 흔히 불운의 왕자라고 알고 있는 사도세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정조는 영조에게 상소를 한다. 실록 기록은 영원히 남아 있으니, 사도세자에 대해 차마 들을 수 없고, 차마 볼 수 없는 말들이 기록된 『 승정원 일기 』 를 삭제해달라고..그렇게 해서 승정원 일기의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삭제가 된다. 그 후 영조가 죽은 뒤 정조 때 편찬된 『 영조실록 』 은 다른 실록의 경우와는 달리 한 사람에 의해 단독으로 진행되는데 이 곳에서도 사도세자에 대한 상당한 내용이 사라져버린다. 또한 , 무덤 주인의 행적을 기록해 함께 묻은 기록인 '묘지문'과 관련해서, 『 승정원 일기 』에는 영조가 사도세자의 묘지문을 구술했다는 기록만 있고, 내용은 삭제돼 있다.

 

실록은 왕도 손을 못대는 걸로 알고 있는데, 공식적인 기록에 손을 대면서까지 정조가 자신의 아버지에 대해 숨기고자 했던 부분은 무엇이었을까...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진실은 무엇인지 새삼 궁금해진다.

 



 

 

또, 정조 이야기인데, 간서치로 유명한 이덕무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조선시대의 서얼 등용 금지 정책은 정조 때에 비로소 풀리게 되는데, 정조는 '검사관'이라는 직제를 새로 만들고 여기에 이덕무를 비롯, 유득공, 박제가 등 4명의 서얼출신을 등용한다. 역시 정조라 남다르다는 생각을 하면서 읽다보니 반전이 기다리고 있다.

정조는 문체반정을 선언한 후 국가에서 보관되었던 서양서적을 태워버리게끔 하는데, 앞서 4명의 서얼출신 검사관은 패관문학에 매료된 문인들이었다. 정조는 이들을 향해, ' 처지가 남들과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문장 때문이 아니라, 이들을 배우로 기르기 위해 규장각에 앉혔다' 고 말한다. 이들 인재를 적극 중용하라던 처음 말과는 너무도 대조적인 발언 !!

 

이 선언 후 석 달 즈음, 이덕무는 조용히 세상을 뜨게 되는데 이러한 정조의 발언이 이덕무의 죽음과 관련이 있는지는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이 책에서 정조에 대한 몇가지 이야기를 접하면서, 지금까지 다른 역사책에서 만나봤던 정조의 이미지와는 대조적이라 조금 혼란스럽다.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한가득이라 이 2가지만 언급하는것도 지면이 부족할 따름이다.

이런 숨은 이야기, 역사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야기를 만나는 순간은 항상 희열이 느껴진다.

역사는 항상 재평가되어야 한다는 말을 다시금 실감하게 된다.

역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식상한 역사 이야기에서 탈피하고 싶은 독자라면 이 시리즈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자유로운 느낌으로 써 내려간 내용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