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 유전자의 미래

- 크리스퍼가 왜 중요한가?

단순하고, 싸고, 활용하기 쉽다
2세대 기술(talen)에 비해 4배 더 효율적이다
예전 기술들보다 더 정교하고 특정 유전자를 겨냥할 수 있다. - P136

/ 크리스퍼, 적정 규모의 유전자 편집

크리스퍼 (CRISPER, 세균과 고균에서 발견되는 DNA 서열)가 이제 유전자 편집 기술의 대명사가 되었다.

이 기술은 종종 crispr-case9이라고도 불린다. - P136

/ 크리스퍼는 어떻게 기능하나?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laindromic repeats

- 클러스터 장비: 가이드 rna, case9 가위 단백질, 대체용 dna 염기 서열(복구 효소 포함)

- 1단계: 가이드 rna가 세포 안 목표물 dna를 찹음
- 2단계: case9 단백질이 dna줄기를 잘라냄
- 3단계: 그 자리에 대체용 dna가 삽입됨.

case9: 이 단백질이 dna의 줄기들을 잘라내는 분자 가위 역할을 한다. - P137

/ 크리스퍼, 적용 가능한 대상


유전자 수술, 약품 개발 / 동물모델, 유전자 변이 / 연료, 음식, 신소재 - P137

/ 이제껏 크리스퍼는 어떻게 사용되었나?


2012년의 한 연구보고서에서 잠재적인 유전자편집 장치로 떠오른 이래, 크리스퍼는 과학과 의학 분야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1. 동물

쥐의 유전적 난청에 따른 중증도를 떨어뜨림
쥐의 골수세포를 편집하여 적혈구 빈혈 치료
인간 전립선암과 간암세포를 이식한 쥐에게서종양크기를 줄임
쥐에게서 발병한헌팅턴병을 편집해제거함
개의 근육위축병치료 - P138

2. 작물
현대 토마토와고대 토마토의 장점을 결합
야생 토마토 종의 장점을 결합해 크기 3배, 생산량 10배인 토마토를 만듦
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생산량을2배로 늘임
좀처럼 갈변하지 않는 버섯을 만들어냄

3. 인간
인간의 면역세포에서 에이즈 바이러스를 제거함
에이즈 치료를 위해쌍둥이 소녀들의유전자를 편집함
세계 최초로 유전자편집을 거친 아이들이2018년 중국에서 태어나 유전자 편집의윤리 등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인간 배아를 편집하여심장병 유발 유전자를제거함
크리스퍼 암 치료법인간대상 임상실험시작됨

4. 약품
신약 투여 가능자를 즉각선별해냄
코로나19 진단키트만듦
크리스퍼는 병의 발견 시간을 줄여, 진단법 개발을 앞당길 수 있다.
암세포의 성장을 늦춤
단일세포 안에서1만 3,000건의 유전자 편집을 실행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2023년 10대 소비 트렌드 키워드


1. Redistributioledistribution of the Average 평균 실종

평균, 기준, 통상적인 것들에 대한 개념이 무너지고 있다. *소득의 양극화는 정치, 사회 분야로 확산되고 *갈등과 분열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 됐다.

*소비 역시 극과 극을 넘나들고 *시장은 *‘승자독식‘으로 굳혀지고 있다. *중간이 사라지는 시대, 평균을 뛰어넘는 당신만의 대체 불가한전략은 무엇인가? - P22

2. Arrival of a New Office Culture: ‘Office Big Bang‘ 오피스 빅뱅

팬데믹 이후 일터로의 복귀를 거부하는 *‘대사직‘, 최소한의 일만 하는 *‘조용한 사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출퇴근과 *워라밸, 재택과 *하이브리드 근무가 뒤섞이는 가운데 *과거의 직장 문화는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송두리째 달라지는 일터에서 조직과 개인은 무엇을 준비해야하는가?

3. Born Picky, Cherry-sumers 체리슈머

*구매는 하지 않으면서 혜택만 챙겨가는 소비자를 *‘체리피커‘라고 한다면, *‘체리슈머‘는 한정된 지원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대한 알뜰하게 소비하는 전략적 소비자를 일컫는다.

*무지출과 조각, 반반, 공동구매 전략을 구사하는 이들은 현대판 보릿고개를 지혜롭게 넘고자 하는 진일보한 합리적 소비자들이다. - P22

4. Buddies with a Purpose: Index Relationships’ 인덱스 관계

*관계의 ‘밀도‘보다 **‘스펙트럼‘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로빈 던바가 말한 인간관계의 적정한 수 *150명은 이 시대에도 맞는 걸까?

SNS를 통한 목적지향적 만남이 대세가 된 오늘날, *소통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면서 *관계는 여러 *인덱스(색인)로 분류되고 정리된다. 이제 나의 친구는 어디까지인가?

5. 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ategy‘ 뉴디맨드 전략

아이폰을 내놓은 스티브 잡스는 말했다. "사람들은 자신이 뭘 원하는지 모른다." 소비자가 아예 생각지도 못한 제품을 내놓았을 때 그들은 줄을 서고 지갑을 연다.

*사지 않고는 배길 수없는 *대체 불가능한 상품, 지금껏 써왔지만 더 새롭고 매력적인 상품 결제 방식이 유연한 상품 등 다채로운 뉴디맨드 전략을 만나보자.

6. Thorough Enjoyment: Digging Momentum‘ 디깅모멘텀

파고, 파고, 또 파고, 끝까지 파고들어가 행복한 ‘과몰입‘을 즐기는 사람들, 디깅러의 세상이 오고 있다. 자신의 열정과 돈, 시간을 아낌없이 투자하는 이들은 과거의 오타쿠와 달리현실도피적이지 않으며 덕후와 팬슈머보다 더 진일보한 사람들이다. 우리 모두 다같이, Let‘sdig in!

7. Jumbly Alpha Generation 알파세대가 온다

2010년 이후에 태어난 진짜 신세대, 알파세대가 떠오르고 있다. 태어나서 처음 한 말이 ‘엄마‘가 아닌 ‘알렉사‘였다는 이들은 단순히 Z세대의 다음 세대가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종족의시작이다. 100퍼센트 디지털 원주민이자 벌써부터 세상을 놀라게 하는 알파세대, 그들의 미래가 곧 우리의 미래다.

8. Unveiling Proactive Technology 선제적 대응기술지금 기분에 맞는 노래 뭐가 있을까? 실내가 좀 어두운데 밝으면 좋겠어. 냉장고에 남은 우유가 있던가? 살면서 마주하게 되는 이 모든 순간에 요구하기 전에 미리 알아서 배려해주는기술이 나오고 있다. 이른바 ‘선제적 대응기술‘이다. 삶의 각종 편의를 넘어서, 사회적 약자를돕고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9. Magic of Real Spaces 공간력멋지다고 소문이 난 공간은 어디에 있든 늘 사람들로 붐빈다. 실제공간은 단지 온라인의 상대 개념이 아니라 우리 삶의 근본적인 토대이자 터전이다. 아무리 정교한 가상공간이라도 실제를 이길 수는 없다. 소매의 종말이 언급되는 시기지만, 매력적인 컨셉과 테마를 갖추고 ‘비일상성‘을 제공하는 공간력은 리테일 최고의 무기가 될 것이다.

10. P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 네버랜드 신드롬요즘 어른 되기를 한껏 늦추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모두가 어린아이로 영원히 살아가는곳, 이른바 ‘네버랜드‘의 피터팬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젊음을 미화하고 우상시하는 분위기속에서 진짜 어른을 만나기 힘든 오늘날, 우리는 어떻게 청춘의 열정과 어른의 지혜를 조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11-03 16: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 총체론적 견해


1. 타일러의 정의

타일러는 그의 저서 『원시문화(Primitive Culture)』(1871: 1)에서 *문화를 "*지식, 신앙, 예술, 법률, 도덕, 관습 그리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에 의해 얻어진 다른 모든 *능력이나 *관습들을 포함하는 *복합총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정의는 지금까지 문화에 관해서 내려진 수많은 정의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일 뿐만 아니라 가장 포괄적인 것으로 널리 인용되고 있는 하나의 고전적인 정의에 속한다.

타일러는 위의 정의에서 *문화는 **인간 고유의 것이라는 점을 암시하고 있고, 또 그의 다른 저서들에서 이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즉, 타일러에 의하면 문화는 **신앙, 관습 등은 물론이고 손도끼, 쟁기 등의 구체적인 **사물뿐만 아니라 그릇을 만들고, 고기를 잡는 등의 **기술까지를 포함하는 *인간 고유의 *모든 사물과 *사건들을 가리키고 있다.

이런 타일러의 입장을 현대 인류학에서 계승하여 발전시킨 사람으로 우리는 화이트(Leslie A. White 1977)를 들 수 있다. - P76

2. 화이트의 정의

타일러가 그의 정의에서 문화란 인간 고유의 소유물임을 암시하고 있는 점을 더욱 구체화시켜, 화이트는 우선 무엇이 동물계에서 인간의 행위를 *다른 동물의 것으로부터 *구별 짓는가에 주의를 돌리고 *‘인간은 **상징(symboling)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임에 유의하여 이것이 바로 *문화의 기초라고 파악하고 있다.

화이트에 의하면, 인간은 *자유롭게 또한 *인위적으로 **의미를 *창작하고 *결정하며, 이를 외계에 있는 사물과 사건들에 *부여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또한 그런 의미들을 포착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유일한 동물이라는 것이다.

화이트가 즐겨 들고 있는 성수(聖水, holy water)는 이의 좋은 예가 될 수있다. *성수는 보통의 물과 구별될 만한 아무런 화학적인 성분을 가지고 있지않다.

그러나 성수는 보통의 물이 아니다. 여기에 인위적으로 부착 의미는된 감각으로 포착될 수가 없다. 예컨대 성수의 의미는 냄새로 맛으로 또는 눈으로 보아서나, 손으로 만져서 포착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지만, 그 가치를 믿는 수많은 교인들에게는 어느 무엇보다도 큰 의미가 있고 강력한 초자연적인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 P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4. 기술 혁신의 시대

시그널 개수 - 04


*가장 친숙한 *혁신 부문은 *반도체 분야다.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능이 2년마다 2배씩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은 이미 현실이 되었다.

게다가 *인간 DNA의 *32억 개 염기서열 전체의 판독에 드는 비용은 무어의 법칙이 예측한 것보다 훨씬 더 가파르게 떨어졌다. 그뿐인가.

*우주 비즈니스도 그야말로 폭발적 기세로 성장했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혁신은 보다 전통적인 분야인 전자통신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다. *5G 기간망을 설치하는 데 전 세계적으로 이미 수십억 달러가 투자되었고 이제 그 결실을목격할 수 있다. 다가올 가까운 미래에 기술의 발전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거대한 물결에서우뚝 설 승자는 누구일지 살펴보자. - P108

/ 지금 기술과 옛날 기술의 차이

1만 4,000권의 책 = 킨들 1대

21만 3,000개의 5.25인치 플로피디스크 = 256GB 마이크로SD카드 1개

100대의 코닥 박스카메라No.1(100장) = 스마트폰 1대(~1만장의 사진) - P112

/ 처리능력의 상승

1900~1940 : 기계장치
1940 - 1950 : 계전기
1950 - 1960 : 진공관
1960 - 1970 : 트랜지스터
1980 - 현재 : 집적회로

/ 갈수록 촘촘해지는 기술 타임 라인

1980년대: 전화, 자동차
1900년 라디오, 비행기
1920년대 로켓, 텔레비전

1940년대 컴퓨터, 핵발전

1960년대 스푸트니크 1호, 달착륙
1970년대 퍼스널 컴퓨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워드 프로세서

1980년대 gps, ms-dos, 애플 맥킨토시, 윈도우
1990년대 dvd, 인터넷, 디지털 무선전화, 하이브리드 자동차, 국제우주정거장 - P113

2000년대 아이팟, 인간게놈 프로젝트, 그래핀, 페이스북, 아이폰, 대형 강입자 충돌기, 구글 자율주행차

2010년대 아이패드, 크리스퍼, 재활용 로켓, 알파고, 금속 3d프린팅, 상용 양자 컴퓨터

/ 기술 보급률 80%에 걸린 기간

- 유선 전화 75년 이상
- 자동차 56년
- 인터넷 22년
- 스마트폰 12~15년

- 500대 고성능 슈퍼 컴퓨터의 성능 로그

슈퍼컴퓨터의 성능은 플롭스(flops), 즉 컴퓨터 시스템이 1초에 수행할 수 있는, 수학적으로 복잡한 부동 소수점 연산의 횟수로 측정한다.

- 2020년 6월 500대 슈퍼컴퓨터 중 최하위인 1.24 페타플롭스 성능은 2008년에만 해도 세계 최고 성능이었다. - P114

/ 기계 대 기계 연결

- 2018년 61억

- 2021년 106억

- 2023년 예상 147억

/ 미국 주식시장의 지분 비율


- 통신 (1990년) 5% -> (2018년) 14%
- 정보기술 0% -> 12%
- 교통 38% -> 2%
- 금융 20% -> 19%
- 에너지 8% -> 7%
- 자재 8% -> 5%
- 장비 6% -> 3%
- 필수 소비재 5% -> 8%
- 산업 5% -> 8%
- 비필수소비재 4% -> 10%
- 부동산 1% -> 3%
- 헬스케어 0% -> 9% - P115

/ 기술을 제어할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지도자 비율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 바이오 기술 > 에너지 포획/저장/전송 > 블록체인과 분산원장 > 지구공학 > 신경기술 > 도처에 널린 망접속 센서들 > 새로운 컴퓨팅 기술 > 첨단소재 및 나노소재 > 가상/증강 현실 > 우주기술 > 3d프린팅

/ 전체 자동차 생산비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율

- 2000년: (전체 자동차 생산비의) 18%

- 2010년: 27%

- 2020년: 40%

- 2030년: 45%

/ 기술이 빛의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깊이 파고들어, 신제품들이 온갖 전자장치들을 주렁주렁 달고 출시된다. 기술 혁신이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멋진 기회를 만들어주는 건 사실이지만, 그 *결과가 잘못되는 날에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때로는 *기술 진보의 성공이 너무나 눈부신 나머지, 그걸 *제어할 우리 인간의 능력을 훌쩍 *추월해버리기도 한다. *전 세계 반도체 공급 경색 사태, 그리고 *소셜미디어에서의 콘텐츠 검열 문제도 진행 중이다.

*정책결정자와 *비즈니스 리더 모두에게 있어 *가속화되고 있는 *혁신을 적절히 **관리하는 게 *핵심 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 P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사회 비교 이론


소비세는도입해야 한다!
난 찬성 하지만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할까?


다른 사람의 의견을 안다 -> 찬성 찬성

-> 의견의 극화 -> 찬성 쪽이 많으니까 소비세를 도입하는 것이 맞다!

다수의 다른 사람의 의견이 자신과 똑같다는 것을 알면 자신의 생각에 자신을 가지고 그 생각이 한층 더 강화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