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 - 살아가는 동안 누구나 풀어야 할 본질적인 숙제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진희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후회 없이 내 마음대로>를 쓴 일본의 호스피스 의사 히라노 구니요시는 앞으로를 "간병의 시대"로 명명했다. 아니나다를까 초고령사회가 급격히 진행되는 요즘, 시내 어딜 가나 요양병원이나 주간보호센터가 쉽게 눈에 들어온다. 앞으로는 정말로 노인의 시대, 요양의 시대, 간병의 시대가 될 것이다. 그만큼 이 문제를 중심으로 엄청난 사회적 자원과 인력이 투입될 것이고, 급변하는 간병 환경에 필요한 다양한 논의들이 터져나올 테다. 


나 개인적으로는 지난 1년 사이 가족 차원에서 많은 일을 겪었다. 한 살 위의 누나가 약물 자살로 생을 마감했고, 나는 아이 하나를 둔 채 결혼 생활을 정리했으며, 오랜 당뇨를 앓던 노모는 외과 수술 후 더딘 회복에 더욱 기력이 처지고 또렷하지 않은 정신 상태를 보이고 있다(치매 우려). 게다가 그나마 건강하던 80대 중반의 아버지는 기존의 청력 상실에 더해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전전하고 있다. 이 모든 일이 지난 1년 사이에 일어났으니 가족 관계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고 할 만하다. 


책의 부제가 가리키듯이 병약한 부모님을 간병하는 문제는 "살아가는 동안 누구나 풀어야 할 본질적인 숙제"일 것이다. 닥치기 전에는 와닿지 않는다. 그러나 막상 닥치면 눈앞의 현실이 된다. 그렇게 된 이유와 과정을 따질 겨를이 없다. 생활 패턴에 당장 변화가 생기고, 해야 할 일들이 바로 들이닥친다. 당장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하고 둘러보고 고민하고 실행하지 않을 수 없다. 


부모의 질병과 간병 문제를 회피하는(혹은 운좋게(?) 피해가는) 자식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자식들은 하루가 다르게 노쇠하는 부모님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고민이 많을 것이다. 내가 이 책을 집어든 이유도 그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특히 내가 좋아하는 아들러 철학을 쉽게 안내하는 저자 기시미 이치로는) 병약한 부모님의 간병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을까 궁금했다.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한 책과의 만남은 독자로 하여금 눈에 불을 켜고 책을 읽게 한다. 명확한 문제의식으로 책을 읽으면 더 빨리 읽을 뿐 아니라 독서로 얻는 것도 훨씬 많다. 책을 읽는 내내 저자의 자리에 '나'를 대입하며 읽었다. "아~ 저자는 이럴 때 이렇게 했구나, 나라도 그렇게 했을까? 어라? 이건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관점인데?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구나. 그래, 저자의 말을 듣고 보니 확실히 그게 더 현명하고 유익한 처사군." 이런 깨달음을 주는 책이었다. 


책을 읽는 내내 부모에 대한 저자의 사랑이 곳곳에 묻어남을 느꼈다. 뇌경색으로 돌아가신 어머니와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오랜 기간 간병한 저자는 의무적인 효도라기보다 있는 그대로의 부모의 모습을, 동등한 한 인간(친구)으로 바라보는 성숙한 태도를 보여주었다. 책에서 얻은 핵심 메시지를 몇 가지 정리해 보았다. 


1) 병약한 부모의 완전한 회복을 목표로 삼지 않기. 

연로한 부모가 예전의 건강 상태로 완전 회복하기란 사실 불가능하며(자연의 섭리에 어긋나는 일이다), 그것을 목표로 삼으면 간병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더욱 힘들어진다. 현실적인 목표를 잡자. 부모님의 현재 상태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자. 


2) 행복의 한계 인정하기.

자식이 부모를, 부모가 자식을 "행복하게 해줄" 수 없다는 깨달음. 궁극적으로 각자의 행복은 각자가 책임지는 것. 누가 누구를 행복하게 해준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다. 부모를 행복하게 해드리는 노력을 방치하라는 뜻이 아니라, 사람이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궁극적인 행복은 각자 스스로의 책임일 수 밖에 없다는 엄연하고도 겸손한 진실 앞에 서자는 요청.  


p.124"아버지를 간병하면서, 저는 자식이 부모를 행복하게 해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도 사람은 누군가를 행복하게 해줄 수도, 누군가에 의해 행복해질 수도 없습니다. 아이를 키울 때 부모는 아이를 행복하게 해주려고 합니다. 하지만 부모는 아이를 행복하게 해줄 수가 없습니다. 아이의 행복을 원하는 것이 틀렸다는 말이 아닙니다. 아이는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p.125: "내가 부모님을 행복하게 해줄 수는 없습니다. 물론 부모님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전혀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부모님을 위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의미이지요." 


3) 부모의 지금 모습 그대로에서 언제나 다시 시작하기. 

부모가 치매에 걸려 엉뚱한 소리를 하고 속이 상하더라도 지금 모습 그대로에서 언제나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깨달음. 


87쪽: 만약 아내가(부모가) 나를 잊어버리면 그 시점에서 다시 새롭게 시작하면 됩니다. 매일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나가면 됩니다. 어제부터 시작된 관계를 오늘로 이어나가는 것이라 생각지 말고, 오늘부터 새롭게 시작한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4) 부모 간병은 '부모를 위해 내가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관점 갖기. 

나 역시 부모 간병을 "즐길" 수 있으면 된다. 쉽게 말해서 내가 좋아서, 나를 위해서 한다는 관점을 갖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말처럼 쉽지 않고 상당한 상상력이 필요하긴 하지만, 잘 살펴보면 부모 간병이 반드시 나의 "백퍼센트 희생"인 것만은 아니다. 가령, 부모 간병을 하는 중에 지금껏 몰랐던 삶의 진실에 눈뜰 수도 있고, 노인들과 병약한 이들을 가까이 보게 되면서 전에 알지 못하던 것들을 알게 되는 수도 있다. 또 지금까지의 나의 생활 패턴을 돌아보고 전체적인 삶의 이정표를 다시 잡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p.126: "벚꽃 피는 계절에 벚꽃 구경을 시켜드리려고 부모님을 모시고 외출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벚꽃이 보고 싶어서 즐기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 꽃놀이를 부모님을 위해서 간 것이 아니라 부모님도 같이 가서 즐긴 것이라고 생각하면, 혹여 부모님이 나중에 꽃놀이 간 사실을 잊어버렸다 하더라도 그 일로 낙담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5) 부모의 존재 자체에 고마움을 갖기.

병약한 노부모들이면 누구나 하는 말 "어서 죽어야지.. 쓸데없이 오래 살면 자식들 고생시키는 거야." 이런 말을 듣는 자식들은 속이 어떨까. "아니에요, 아버지(어머니). 살아 계셔 주시는 것만으로 저희에게 얼마나 큰 마음의 위안이 되는지 몰라요." 이렇게 말하고 싶지만 언뜻 입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이에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216쪽: "나이 든 부모님은 당신이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사실에 자신을 ㅇ맇고, 자신에게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나 같은 건 없는 편이 낫지'라며 괴로워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가족 안에서 당신들의 자리가 없다고 느끼게 됩니다. 그런 부모님에게 ... 존재 그 자체에 '고맙다'고 해줌으로써 부모님의 존재가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안식시켜주어야 합니다." 


6) 늙고 병들어가는 부모님을 간호한다는 것은, 앞으로 필연적으로 다가올 "나의" 병듦과 죽음에 대한 예행연습이라는 관점. 

나 역시 앞으로 필연적으로 늙고 병들어 죽어갈 것이다. 부모의 늙음, 병듦, 죽음을 지켜보는 일은 이에 대한 실전 예행연습이다. 내가 어떻게 늙고 병들고 죽어갈 것인가에 관하여 이보다 더 도움이 되는 현장실습이 또 있을까. 잘 지켜보면서 배울 것은 배워가며 그렇게 인생을 마무리해야 한다. 


스티브 잡스가 말했던가. 죽음은 인생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죽음이 없다면 우리는 얼마나 오만할 것인가, 죽음이 없다면 우리는 얼마나 욕심에 똘똘 뭉칠 것인가, 죽음이 없다면 우리는 얼마나 어리석을 것인가. 고맙다, 죽음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 마음의 위기를 다스리는 철학 수업 마흔에 읽는 서양 고전
강용수 지음 / 유노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깜짝 놀랐다. 이런 책이 베스트셀러라는 사실에. 베스트셀러는 많은 사람이 좋게 읽은 책이 아닌가. 그 많은 사람이 이 책을 좋게 읽었다는 사실에 나는 무척이나 놀랐다. 대체 이 책이 어떠하길래 나는 그렇게 말하는가. 


우선 지리멸렬한 논리, 어울리지 않는 어휘 선택, 동어 반복, 실체 없는 허사의 남용, 설득력 없는 억지 주장 등이다. 저자에겐 죄송하지만, 한마디로 중학생이 쓴 책으로 읽혔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본다. 


86쪽, 모든 현자를 기다리는 운명은 죽음이기 때문에 죽음의 유혹은 늘 존재하기 마련이다. -> 타당한 인과관계인가?

105쪽, 항상 긍정적인 기분으로 살면서 늘 웃는 얼굴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유치하고 뻔한 권고

137쪽, 탁월한 작품을 얻기 위해 타인의 인식에 신경 쓰지 않고 연구의 직접 목적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얻는 자만이 새롭고 위대한 통찰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무슨 말인가?

146쪽, 상대방에게 프러포즈를 해서 차이는 경우는 ... 집안의 대가 끊길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상처가 된다. -> 상대에게 차이는 것이 집안의 큰 상처라고? 네, 알겠습니다~

154쪽, 이성을 사귈 때 재산이나 학력을 포함한 배경은 부차적이다. 그 사람이 본래 갖고 있는 외모와 같은 신체적인 특성이나 성격과 같은 장점이 더 고려되는 것이다. -> 정말? 우리는 결혼 시에 재산, 학력을 신체 특성이나 성격만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가?

159쪽, 그때나 지금이나 홀로 사는 사람의 마지막에는 행복하지 않은 죽음이 기다리고 있다. -> 홀로 사는 사람의 마지막에는 행복하지 않은 죽음이 기다리고 있다? 과도한 일반화

161쪽, 사랑과 연애, 결혼에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잠시라도 행복했다면 충분하다. -> 초라하고 빈약한 결론

164쪽, 그러나 여성은 외모를 중요하게 보는 남성과 달리, 이성이 가진 내면의 장점을 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성실, 친절, 배려 등을 더 고려한다. -> 정말? 여성은 결혼할 때 남성이 가진 경제적 능력을 꽤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안다. 

168쪽, 가끔 연애할 때 주고받았던 편지나 문자를 보면서 연애할 때를 기억하는 것도 상대방의 소중함을 다시 확인하는 방법일 것이다. -> 용두사미의 결론

183쪽, 우리도 혼자의 힘으로 잘 살 줄 알아야 한다. -> '잘 산다'는 것에 대한 설명이 없는 유치한 당위.

204쪽, 세상의 모든 일이 1년 이상의 계획에 따라 진행되다 보니 -> 세상의 모든 일이 1년 이상의 계획에 따라 진행된다고? 

206쪽, 각자 개성이 다르기 때문에 인간은 이 세상에서 가장 높은 단계의 존재인 셈이다. -> 각자 개성이 다르면 가장 높은 단계인가? 


무엇보다 책의 제목으로 내세운 '마흔'도, '쇼펜하우어'도 애매모호하게 가려져 그 고유한 특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나는 이 책에서 마흔의 뚜렷한 정체성이나 쇼펜하우어 고유의 철학자적 특성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마흔도, 쇼펜하우어도 그저 저자의 경박한 주장과 논리 전개에 곁다리 소재로 이용될 뿐이다. 


그리고 내가 구입한 책은 65쇄인데 아래와 같은 오자, 탈자가 아직도 남아 있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놀랐다. 

 

76쪽, 지능은 생존을 위한 도구로써 -> 도구로서

86쪽, 벗어나려는 시도인 자살이 얼핏 -> 자살은 

96쪽, 좌절됐기 때문이고 -> 때문이라고 

107쪽, 살인죄를 사면하고 그를 신이 살고 있는 올림포스 산으로 그를 초대했는데, -> '그를' 중복

114쪽, 음악의 형이상적 가치를 -> 형이상학적

128쪽, 우리의 행복이 -> 우리의 행복은 

135쪽, 이해하는 글로써 -> 글로서 

136쪽, 이해할 수 있게 표현한 것만큼 -> 표현하는 것만큼

159쪽, 이미 정신을 잃을 -> 잃은 

163쪽, 지금 무리가 -> 지금 우리가 

168쪽, 비록 결혼을 하면 -> 그러나(그런데) 결혼을 하면 

175쪽, 불견상견절치(한자 '견' 자를 중국 간체자로 쓴 이유?) 

176쪽, "우리의 모든 불행은 혼자 있을 수 없는 데서 생긴다." 

-> 쇼펜하우어가 아닌 파스칼의 말이 아닌지?(“All of human unhappiness comes from one single thing: not knowing how to remain at rest in a room.” ― Blaise Pascal)

177쪽, 부자로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외적인 부를 통해 내적인 부를 대신하려고 노력한다. -> '외적인'과 '내적인'이 바뀐 것 아닌지? 

202쪽, 현재만이 진실하고 현실적이고 확실한 것을 -> 확실하다는 것을 

205쪽, 워크홀릭 -> 워커홀릭

207쪽, 우리나라는 회사나 집이나 230볼트로 어디나 똑같다. -> 220볼트 아닌가?

210쪽, 나중에 자신에 어떤 사람인지 -> 자신이 

223쪽, 많은 사람은 '남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라는 -> 많은 사람이 

224쪽, 자신이 원래 갖고 자산에 대해 -> 갖고 있는 자산에 대해


그리고 보통은 '한다'로 표현하는 것을 '된다'로 표현하는 부분이 많아 꽤 거슬렸다. 

59쪽, 원인을 먼저 없애야 된다.

105쪽, 운동을 통해 건강을 챙겨야 된다. 

133쪽, 독서를 해야 된다. 

180쪽, 그것을 견디는 법을 배워야 된다. 

212쪽, 개성이 뚜렷한 삶을 살아야 된다. 

226쪽, 허영심을 없애야 된다. 


이 리뷰가 책과 저자, 출판사에 대한 비방으로 읽히지 않기를 바란다. 그저 책에 대한 좀더 정당한 평가가 이뤄지길 바라는 어느 독자의 솔직한 서평으로 읽어주길 바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6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J 2024-03-27 2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최근에 제목만 보고 저자의 강연에 갔다가 마치 중학생 수준의 지식과 시종일관 버벅거리며 주제와 무관한 책장사나 하고 대학교수가 맞나 싶을 정도의 저급한 presentation skill을 보고 충격을 받았지요. 강연내내 본인의 나이와 노안과 인세와 세금과 영화 조연 이야기를 주제와 무관하게 수십번 되풀이하여 어이가 없었지요. 오는 길에 서점에 들러 책을 훑어봤더니 쇼펜하우어에 관한 성찰이 전무한 짜집기 수준의 책이더군요. 누가 이런 책을 소개하고 광고하나요? 이런 부류의 저급한 작가들은 퇴출되어야 마땅합니다.

밍유유 2024-05-15 0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보다 더 수준 높은 리뷰네요.

mediocris 2024-05-19 2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행복론 또는 인생론으로 불리는 장식과 첨부(Parerga und Paralipomena) 때문에 쇼펜하우어를 통속적인 인생론 작가로 오해한 출판사의 편견과 저자의 태만이 탄생시킨 기이한 결과물입니다. 칸트의 계승자를 자처하면서도 칸트를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한 불가피한 비판이라면서 칸트를 궤변론자라고 폄훼한 쇼펜하우어는 대중적 인생론 작가로 취급될 만큼 가벼운 철학자가 아닙니다. 그러나 칸트의 이율배반 논리를 속임수라고 극언하면서 쇼펜하우어가 대안으로 제시한 의지와 표상 논리 역시 칸트, 피히테, 셸링, 헤겔을 비판하면서 사용한 지성적 직관이나 절대적 사유(absolutes Denken)와 조금도 다르지 않습니다. 의지의 본질인 물질의 표상 형식이 없어 물질의 불변(생멸하지 않음)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인식 주체가 의지의 객체인 표상의 변화와 인과성을 인식할 수 있겠습니까? 행위의 원인인 동기를 자극하는 표상의 계기인 힘에의 의지에 저항할 수 없으니 표상의 계기를 멀리해야 한다는 불가능한 해결책이 쇼펜하우어 인생론의 전부입니다. 이를테면 음식은 식욕을 자극하니 음식을 멀리해야 된다는 논리입니다. 음식이란 사물 자체가 의지의 표상인 동시에 불행의 원인이니 행복을 위해서는 음식이라는 의지를 부정해야 한다는 고약한 염세주의가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그나저나 저자는 쇼펜하우어를 읽기나 했는지 의문입니다. 쇼펜하우어 철학은 칸트비판으로 일관하는데 열 번을 읽어도 이해되지 않는다는 칸트를 얼마나 읽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쇼펜하우어는 칸트비판의 양념으로 피히테, 셸링, 헤겔을 비판하는데 저자는 그들을 과연 읽었을까요?

65896989 2024-12-09 0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책 구매를 결정하는데 많은도움이 되었습니다.
 
나의 수행일지 - 수행으로 차오른 삶의 성찰
박지윤 지음 / 무량수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어보고 싶은데 책이 너무 비싸네요. 도서관에 희망도서 신청하려 해도 올해 도서신청 예산은 모두 소진되었다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픈 우크라이나 - 역사 속 러시아와 갈등으로 보는 우크라이나 전쟁
김병호 지음 / 마음친구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시각각 변하는 우크라이나 상황... 이 책으로 문제의 가지가 아닌 문제의 뿌리에 닿고 싶어 읽어보려 한다. 우크라이나는 왜 그토록 러시아에서 벗어나려 하는가.. 거기에는 역사적 연원이 있다.. 책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AKEOUT 유럽예술문화 - 지식 바리스타 하광용의 인문학 에스프레소 TAKEOUT 시리즈
하광용 지음 / 파람북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가 글을 풀어내는 솜씨가 있어요. 맛깔스러워요. 한번 읽어보세요. 괜찮아요(다만 TAKEOUT인데 책이 너무 무거워서 ˝테이크아웃˝ 하기 어려움 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