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서른에 책 3,000권을 읽어봤더니
이상민 지음 / 대림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몇권 읽었는가 그것도 중요할 수 있겠지만 어떤생각을 가지고 읽는지 생각이 제일 중요하다

어떤사람들은 자기계발도서든 같은 내용인데 많이 읽어서 뭐 도움이 되냐는 말을 많이 듣는데 같은 책을 보더라도 내가 처한 상황 얻고자하는게 무엇인지에 따라서 같은 책을 읽더라도 느끼는바가 다른거 같다

정리하자면 계속 독서를 하다보면 어느시점부터는 책을 보는 관점이 조금씩 달라지는거 같아요

두서없이 적었네요ㅎㅎ
읽어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책을 읽고 마무리 서평을 안적은거 같아서 매일 한권씩 서평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물론 이런 생각을 하기 이전에 반드시 스스로 생각을 많이 함으로써 판단력을 키워야 한다. 사실 어느 정도 지식이 있어야 제대로 된 판단을 내릴 수가 있다. 지적 깊이가 얕은 상태에서는 그야말로 어설픈판단을 내리게 된다. 그런 점 때문에 많은 공부가 필요하고, 많은 사색과 성찰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판단다운 판단을 내릴 수가 있고, 이렇게 되었을 때 비로소 지적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다.
때문에 인문고전은 반드시 읽어야 한다. 한 문장 한 문장을 되짚어가며 읽음으로써 깊은 사색과 성찰을 필요로 함은 물론, 존경받아 마땅한 현인들의 높은 통찰력을 보며 겸손함을 느낄 수 있다. 긴장감이있고 스트레스가 있을 때는 동양고전을 읽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아무래도 인생의 어려움과 고독을 겪은 저자들이 마음을 고요히 다듬고 집필한 책들에서는 인생의 바른 이치를 통해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길들을 얻을 수 있다.
마음이 풀어졌을 때는 역사서를 읽는 게 좋다. 역사서는 치열한 현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풀어졌던 마음이 팽팽히 조여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역사는 현재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이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현실을 바라본다면 복잡한 문제를 풀어가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독을 즐기게 된다는 것은외로움을 슬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기꺼이 혼자가 되는 것,
즉 다른 사람이 아닌 나 자신과 함께하는시간을 즐기게 되는 것이다.
때때로 우리 모두에게 이런 변화가 필요하다. 

러스킨 본드 Ruskin Bond - P33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은혼자 서 있는 사람이다. 

헨릭 입센 Henrik Ibsen - P45

언제나 나 자신을 기억하라.
스스로를 깊게 파고들어라.
나는 내 삶의 관찰자이자나의 행동, 자세, 표정, 호흡, 감각, 감정의 증인이다.
다른 곳으로 뛰어오르려고 하지 말고지금 그 자리에서 나를 관찰하라.

_조너선 프라이스 Jonathan Pryce - P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더, 스탠드 꿈꾸는돌 32
추정경 지음 / 돌베개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더, 스탠드

이해라는게 각자 살아온게 틀린 것도 있지만 겪지않으면 어느정도 공감은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해라는 단어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소설

무엇이든 온전하게 이해하는건 힘들겠지만 노력해나가는 과정이 인생이 아닌가 생각이든다

인간은 결코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기에그것을 향하다 결국 8부 능선쯤에서 멈춰 진실을 깨닫는다.
인간이 인간을 온전히 이해하는 일에 완주란 없으며,
페이스메이커의 운명이 그러하듯다만 그 과정을 함께할 수 있을 뿐임을-본문 중에서 - P1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념 : 견고하게 지키는 믿음이나 의견

곡식을 자라게 하려고 땅을 갈 때는 잡초를 뿌리째 뽑아야 한다.
그런데 왜 정신의 잡초들은 뿌리째 뽑지 않는가?
왜 성장하기 위해 마음을 정리하지 않는가?
호러스 플레처 - P1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기와 영감 사이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동기는 외부에서 오는 단기적인 현상으로서 전반전이 끝나고 선수들을 격려하는 축구 감독이나 관중들을 사로잡는 연설가는 청자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 영감은 내부에서 오기 때문에 가슴으로부터 넘쳐나는 기쁨과 욕망의 영원한 샘물과 같다. 진정한 영감은 결코 마르지 않기 때문에 다시 채워 넣을 필요가 없다. 영감이 흘러넘치는 것이다.

열정->마음->영감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