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의 유명한 발명가이자 통신 기업가인 굴리엘모 마르코니(Guglielmo Marconi)는 이렇게 말했다. "성공의 비결은 신속하게 행동하는 습관이다." - P127
옛 전국시대의 시인 굴원(原)은 "진리로 향하는 길은 멀고 멀지만 나는 굽히지 않고 온 힘을 다해 그 길을 찾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인생이라는 긴 길 위에서 제자리걸음에 만족하며 살아간다. 만일당신이 갑자기 이 길을 멈춘다면 어떨까? 누구도 당신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들은 쉼 없이 앞을 향해 나아갈 것이다. 뒤에서 당신을 따라잡으려고 달려오던 사람들도 어느 순간 당신을 앞질러버리게 된다. - P144
나는 배운 것을 활용하여 실제 생활 속에서 마주치는 문제를 해결해보라고 제안하고 싶다. 늘어난 지식으로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그것이 강력한 학습 동기가 되어, 더 많이 배우는 선순환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때 배우는 지식은 어느 정도의 넓이도 갖춰야 하지만 그보다는 깊이가 더 중요하다. 하나의 지식을 배우면 반드시 완전히 소화해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탄탄한 지식을 갖춰야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움은 평생 동안 이어져야 한다. 잠깐 하다 말아버리는 공부란 아무런 효과도, 가치도 없다. 공부가 지루하고 재미없는 까닭은 완전히 몰입하여 지식과 하나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느 날 문득 나의 지식으로 주위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당신의 학습 동기는 끝없이 강해질 것이다. 언젠가 하루라도 공부를 하지 않으면 해야 할 일을 못한 것처럼 찜찜해진 순간, 이제 당신의 성공은 머지않게 된다. - P152
옛말에 ‘만 권의 책을 읽고 만리 길을 걸어라.‘라는 것이 있다. 이 격언은 학습과 실천이 똑같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책에 담긴 이론만 달달달외워서 공부할 뿐 이를 현실 세계에 응용할 줄 모른다면 지혜로운 사람이라기보다, 그저 공부를 취미로 하는 책벌레에 불과할 뿐이다. 중국에는 ‘종이 위에서 병법을 논한다(紙上談)‘라는 고사가 있다. 전국시대 조나라에 조괄(趙)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조괄은 조사(趙)의아들로, 어려서부터 아버지에게 병법을 배워 병서를 읽고 병법을 논하기시작하더니 곧 아버지를 뛰어넘는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나중에 조괄은조나라의 장군이 되어 전쟁을 치르게 되었는데, 병서에 적힌 방법만 알다 보니 실제 상황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가 이끌던 조나라 군대는 결국 진나라 군에게 전멸당하고 말았다. 지식은 책 속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지식은 반드시 실재에 응용할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현실 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식만이 진정한 지식이다. 책을 벗어나지 못하는 공부는 죽은 지식만 쌓을 뿐이다. - P1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