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이제는 의식의 시선을 높여야 한다. 우리가 보는 것‘이 곧 ‘바뀔 것‘이라는 진리를 알아야 한다. 세상은에너지로 이루어져 있고, 에너지의 본질은 ‘변화‘이기 때문이다. 상상이 잠재의식을 이용해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상상에 대한 믿음이 있으면, 그 믿음이 현실을 바꿀 수 있다. 보는 대로 믿지 말고, 믿는 대로 봐야 한다. 자신의 상상을 믿고, 세상을 바라봐야 한다.
보이는 것은 실체가 없다. 당신의 감각과 이성이 만든현재의식의 그림자일 뿐이다. 더 큰 세상을 바라봐야 한다.
당신의 믿음이 만든 세상을 바라봐야 한다. 자신의 상상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자신의 상상이 이루어진 느낌을 가지고 그 믿음으로 세상을 보자. 그리고 세상의 변화를 감지하자.
변화에 반응하고 행동하면 어느새 자신이 원하는 세상이 펼쳐지게 된다. 상상하라. 그리고 믿음을 가지라 이미이뤘다는 느낌을 사실로 받아들이라. 당신의 바이브가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77

상상의 느낌이 감각의 세상에 나타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과거에 전달된 바이브의 상황이 먼저 나타나기 때문이다. 자신이 지금 원하는 소망은 그 바이브가 이뤄진 다음에 만들어진다. 올바른 상상, 자신이 원하는 소망만•전달해야 하는 이유다. 잠재의식이 나의 인생을 만든다. 나와 내 세상을 나의 상상만큼 바꾼다.
변화의 시작은 작은 사인이다. 살면서 만나는 우연, 운,
기회 등은 감각의 세상에 펼쳐지는 변화의 시그널이다. 우리가 부러워하는 부자, 성공한 사람들, 인생의 영웅들은 그신호를 잘 감지해서, 그에 반응했을 뿐이다. 그들은 그렇게성공했다.
삶의 기적을 만든 사람들은 잠재의식의 법칙을 알고 있었다. 그 비밀을 간직하고 있었다. 기적은 잠재의식이 만든 - P93

다. 잠재의식을 알고, 잠재의식의 특징을 잘 활용한다면 당신도 당신 인생에 기적을 만들 수 있다. 그 작은 변화를 잘파악하고 그에 맞는 행동을 하면 된다. ‘나폴레옹 폭탄주‘
는 바이브와 잠재의식을 깨닫게 해준 내 인생 최고의 ‘기회‘였다. - P94

나의 시각은, 현실의 눈은 3차원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상상의 눈은 4차원의 세상을 보고 있다. 나의 감각이 보는 현실은 4차원 세상의 한 단면이다. 나의 시선에 시 - P98

간이 포함되면 4차원으로 넘어간다.
1차원의 세상은 선이다. 점과 점이 만나 선이 된다. 선과선이 만나면 2차원 공간인 면이 된다. 그리고 면과 면이 만나면 입체가 된다. 입체가 사물을 이룬다. 우리가 바라보는모든 사물은 3차원이다. 부피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세상은 3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시간이 더해지면 4차원이 된다. 세상 모든 만물은 시간이 지나면 변한다. 변화되고 소멸된다. 4차원의 본질은 변화다. 거꾸로 생각해보자. 눈앞의 물체(3차원)를 자르면 단면(2차원)이 생긴다. 이 단면을 자르면 선(1차원)이 생기고, 선을 자르면 점이 만들어진다. 3차원, 2차원, 1차원으로 줄어든다. 그럼 사물(3차원)은 무엇인가. 사물은 4차원의단면이다. 시간의 개념을 잘라 만든 것이 내 앞에 있는 사물이다.
시간의 단면인 ‘순간의 모습‘을 보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3차원 세상이다. 눈앞의 세상이고, 우리가 바라보는우주의 모습이다. 우리는 순간의 세상을, 4차원의 단면인세상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전부라고 믿고 있다. - P99

세상에 자수성가한 부자들을 보면, 그들 중 시련을 겪지않은 이는 한 명도 없다. 큰 시련을 겪고, 큰 성공을 하는것이 그들 삶의 과정이었다. 시련의 크기만큼 부의 크기도커지게 된다. 시련은 고통이 아니다. 해피엔딩을 위한 하나의 장치에 불과하다. 꿈을 이루고, 소망을 달성하기 위해꼭 필요한 도구다.
당신의 인생은 이미 해피엔딩이다. 그렇게 세팅되어 있다. 행복한 결말이 이미 인생에 주어졌다. 시련은 그 과정에 존재하는 흥밋거리다. 당신은 그 과정을 즐기면 된다.
시련의 시간이 지나면 보다 성장하고, 성숙한 자아를 만나 - P114

게 될 것이다. 그 속에서 보다 축복받은 일상이 펼쳐질 것이다. 시련은 축복의 또 다른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 속에서 빛나게 성장할 당신을 상상하라. 이미 그렇게 되기로 되어 있었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