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 사장님은 경제적 자유를 이루지 않으셨나요? 이일은 왜 계속하시는 거예요?" "하하, 경제적 자유라⋯⋯⋯⋯. 나도 젊었을 때는 돈 많이 벌어서 마음껏 쓰고, 좋은 데 살고, 좋은 거 입고, 좋은 차타는 게 경제적 자유인 줄 알았어. 그런데 지금은 생각이 좀달라졌어. 돈이 많아도 돈에 스트레스 받고, 더 벌기 위해본인이 하고 있는 일에 구속된다면 그건 그냥 재정적으로여유로울 뿐이지 진짜 자유로운 상태가 아니더라고. 그래 - P240
서 생각해봤지. 경제적 자유가 뭘까, 하고 말야. 진짜 경제적 자유는 말이야. 재정적인 여유와 정신적인 자유가 합쳐져야 해. 그게 진짜 경제적 자유라고 봐. 햇살 좋은 날에차 한잔하면서 미래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여유, 돈 걱정없이 가족과 보내는 행복한 일상, 가까운 친구들과 함께하는 소중한 추억. 그런 게 진정한 경제적 자유가 아닐까싶어. 자네 생각은 어때?" - P241
"사업이든 투자든 직장이든 모든 것의 기초는 예의와 매너야. 한마디로 덕(德)에서 출발해야 한다네. 그게 없으면 아무리 큰 업적을 세워도 결국에는 콩밥 먹게 되어 있어, 누군가를 밟고 올라가서 성공해야 한다거나 저 사람이 나보다 잘난 것을 인정하기 싫어서 상대를 누르고 잘돼야 한다거나 하는 식으로는 절대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없지." - P242
투자와 투기. 무엇이 다를까. 사전을 찾아보니 생산활동과관련된 것을 투자라고 하고, 생산활동과 관계없이 이익을추구할 때는 투기라고 쓰여 있다. 그렇다면 집을 사는 것은 투기인가실거주 목적으로 자기가 들어가서 사는 것도 투기인가생산활동을 하려면 사람이 필요하다. 사람이 있으려면 살곳이 필요하다. 살 곳은 생산활동과도 연결되어 있다. 즉집을 사는 것은 원활한 생산활동을 하는 사람의 기본적인 조건이므로 투자라고 봐야 한다. - P287
"궁금한 게 있는데요. 경제적 자유가 돈만 있으면 다 되는 건가요?" "인생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주도권이 나에게 있어야만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어. 나를 통제할 줄 안다는 것은 칼자루가 내 손에 있다는 뜻이지. 그런데 사람들은 칼날을 잡고 있으면서 칼자루를 잡고 있다고 착각을 해. 아무것도 통제하지 못하고 세상과 주변 환경에 이리저리 휩쏠린다면 그게 진정한 자신의 모습인지 생각해볼 필요 - P356
가 있다고 봐." "주변 환경에 휩쓸리지 않는다는 게 어려운 일 아닌가요?" "맞아. 어려워. 어렵지만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고 결과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해. 그러다 보면 그간의 최선의 선택을 뛰어넘기 위해 주어진 환경 안이 아닌 밖에 대해 생각하게 되지. 그때 비로소 다른 세상이 열리는 것 같아. 어렵나? 내가 생각해도 단순히 경제적인 부분보다 더 어렵더라고. 나도 알아가는 중이야." - P3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