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연적 편협‘이라 하면 생각나는 것은 ‘편견‘이나 ‘편협한사고일 것이다. 편견은 주관적인 믿음이나 선입견으로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에 대해 일반화하거나 선입견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편견은 사람들의 과거 경험이나 사회적 영향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논리나 근거 없이 고정된 의견을 가지기도 한다.
편협한 사고 역시 유사한 의미로 폭넓은 시각이나 다양한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좁은 범위에서 사고하거나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편협한 사고는 문제해결과 창의성에 제약을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편협하게 되면 다양성이 무시되거나 오해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올바른 판단과 결정을 방해할 수 있다.
사람은 살아온 환경에 의해 필연적으로 편협해지기 때문에 세상을 알 수 있는 한계 내에서만 이해하고 보게 된다. 이 책을읽는 독자들은 조금이라도 세상을 다르게, 혹은 폭넓게 이해할수 있으면 좋겠다. - P9
준함을 적응하고 이해할 수 있다.
처음에는 귀찮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일주일, 한 달, 일년 동안 꾸준히 실행한다면 자연스럽게 습관이 될 수 있다. 이는독서뿐만 아니라 다른 것들을 실천함에 있어도 도움을 줄 것이다. 습관이 정착되면 자연스럽게 일상의 일부가 되기에 습관은 제2의 천성이라고도 불린다. - P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