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상한 단어들의 지도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어원의 지적 여정
데버라 워런 지음, 홍한결 옮김 / 윌북 / 2023년 10월
평점 :
수상한 단어들의 지도
데버라 워런/홍한결
윌북
영어단어를 외우는 일이 지겨울 때는 이 책이 즉효약이 될거 같은 건 나만이 아닐듯싶다. 동시통역사 안현모가 이 책은 읽기 시작하면 멈출수 없는 그런 책이라 설하기도 했다. 그럴만 한것이 책의 재미도 재미지만 책의 본문에서 저자는 어떤 단어의 유래를 설명하고 난 뒤 방금 설명에서 다른 단어를 건져 내어 또 이어서 그 단어의 유래를 설명하는 방식 때문이 아닐까싶다.
세상에 단어하나가 만들어질 때도 뜻이 없이 그냥 만들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누가 Dracula를 draco(용) 와 molecule(분자, 작은덩어리) 의 합성어로 '작은 용'을 뜻하는 것인줄 알았을까. cream과 Christ는 어원이 같은데, khrisma(기름)라는 단어에서 왔다. cream도 기름 성분이 대부분이고, Christ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라는 뜻이니 어디가서 배운티 좀 내도 될거 같다.
과일단어들 중 banana(화가 나 돌아버린다는) , prune(말린자두, 불평꾼), lemon(불량상품), peach(밀고하기), pear(꼬인상황) 는 부정적인 단어들에 쓰이는 것은 과일당사자에게는 억울하겠지만 그렇게 유래했다.
디저트인 tiramisu(티라미수)가 요새는 흔한데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지 않는가? 역시 '기분 좋게 하다'란 뜻이다.
작은 내모습이 내 앞의 다른 사람의 눈동자(pupil)에 비취니 pupil은 라틴어 pupa(작은 사람, 인형)에서 왔다. 이건 꽤 기발한데 하고 감탄했던 부분이다.
corn이란 단어는 보통 옥수수로 알고 있다만 독일에서는 korn으로 쓰고 kernel(낟알, 알갱이)이 파생되었으며, 스코틀랜드에서는 옥수수가 아니라 귀리이며, 영국에서는 밀로 쓰이니 단어는 하나인데 제각각 다르게 쓰이니 정해놓은 기준이 사라진 이유는 성경 속에 바벨탑 사건이후 사람의 말이 여러가지로 나뉘어진 탓으로 본인은 믿고 있다.
현재도 진행중인 말많고 탈많은 코로나19(Covid 19)가 코로나불리는 이유는 세균이 왕관(코로나)모양이어서인 것은 웹서핑을 했다면 알만한 사람은 아는 내용일 듯하다. 그런 면에서 단어를 만드는 것은 단순하며 전해내려오는 풍습이나 실생활가운데에서 유래된다는 느낌이다.
영어는 앵글족, 색슨족의 언어가 40퍼센트, 나머지는 라틴어에서 왔다고 한다. 프랑스어와 독일어도 영어와 같은 어원에서 파생된 것이 많았다. 같은 문화권에서 사는 사람들의 반경내에서 사용하는 말이라 그런 것 같다.
어떤 이가 시간순삭을 원한다면 봤던 영화 또 보지 말고 이 책을 무심코 보다보면 목표달성할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책을 제공해주신 출판사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