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가져도 모자란다고? - 욕심 어린이를 위한 가치관 동화 12
김은의 지음, 이종균 그림 / 개암나무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를 위한 동화, 다 가져도 모자란다고?  는 제목에서 보여 주듯

욕심만 무한정 갖고 자기 것만 모으려 드는 욕심 영감의 깨달음 같은 것을 보여주는,

흔하지만 그 나름대로 의미가 깊어 대단히 교훈적이다.

 

어릴 적에 옛날 이야기처럼 술술 흘려 들어도 재미있고, 그 속에 빠져서 솔깃하다 보면,

자연스레 덤벼오는 깨달음을 주는 동화는, 내포하는 의미를 드러내 놓지 않고서도

강조하듯이 명확한 의미들로 다가오게 한다.

자라면서 아이들이 장난감을 서로 나눠 가지면서 놀다 보면 나눔과 배려도 익히게 되듯

모으기 에만 급급한 일부 어른들의 정서에도 조금은 닿아가 보면 좋겠다 싶은,

김은의 작가의 어린이를 위한 가치관 동화 이다.

 

욕심 영감은 부자이다. 큰 집에 논 밭도 많고 이웃의 가난한 사람들이 해 마다 욕심 영감의

땅에서 농사를 지어 곡식을 바친다. 조금 더, 조금 더 채우기를 바라는 욕심 영감은

흉년에도 상관없이 곳간을 채우고자 하고, 하나 밖에 없는 그의 딸은 인심 없는

아버지를 걱정스러워 한다. 이런 욕심 영감에게 이런 딸이 있다는 것이 반전 같기도 하지만,

원래 부터가 사람의 욕심에는 제한선이 없는 것이고, 얼마만큼 곳간을 채워야 행복을

느낄 것인지의 생각도 해 보게 한다.

딸은 큰 집, 논 밭, 곡식도 많잖아요 라며 가난한 노인을 내쫓는 욕심 영감을 걱정하는데

그 정도 기준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베풀 수 있다,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라는 생각을

해 두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해 봤다. 제한선, 기준도 없는 가진 자의 생각 이라는 것은

가지면 가질수록 허기가 지듯이 느껴질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이런데서 발생되는 현상이 바로, 겨우 기초 수급자를 벗어날 정도의 노인부부가

자기네들은 그래도 얼마간의 국민연금을 수령하고 있으니 그 푼돈을 모아 형편이

더 어려운 노인을 도와 드리라며 성금을 기탁하는 아름다움 같은 것이다.

수십 억 짜리 빌딩을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국가에 내야 할 세금조차 납부하지 않아

밀린 세금만 몇 천 만워, 몇 억 씩 되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세상에, 동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 존재하는 현실 속 진짜 이야기가 버젓이 벌어지고 있는 세상에서,

마음 씀씀이는 제대로 된 가치관에서 비롯되어야 하며 진정 부끄러워 할 줄 아는 것도

교육의 일환이 되는 걸까 생각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