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안에 유창해지는 법 - 외국어, 이번엔 진짜 끝낸다!
베니 루이스 지음, 신예경 옮김 / 알키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3개월 안에 유창해지는 법>  -  다국어 구사자의 언어 정복담.

 

 

이 책을 보는 순간의 독자에게는 책의 제목이 대단히 유혹적 일 지도 모르겠다.

3개월 안에 외국어를 구사 할 수 있다지 않는가?  매우 호감이 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렇듯 외국어에 관한 한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기대하고 바라는, 그리고 꼭 이루고

싶어하는 목록(List) 에 반드시 외국어 정복 이라는 항목이 포함되어지듯,  거의 모든 사람들이

원하고 바라는, 그래서 더욱 제목에서부터 유혹 받을 만한 확률이 높을 지도 모르겠다.

 

저자, 베니 루이스 (Benny Lewis)의 모국어는 아일랜드 어 이고 영어만 할 수 있었던

평범한 사람이었지만 현재는 10개 국어 이상을 말 할 수 있다 한다.

 

오랫동안 영어 회화와 문법 관련 일을 지속해 온 나는 이 책, 3개월 안에 유창해 지는 법을

절대 기대하는 바 없이 순수한 시선으로 만났다.

서점의 외국어 코너에 가면 세인들의 그 관심만큼이나 숫적으로도 많았지만, 어떤 책을

골라야 할 지 정신이 어지러울 정도로 많은 영어 공부 관련 교재들이 널려 있다.

온갖 생각할 수 있는 제목들을 이름표로 붙이고 진열되어 있는 책 들은 독자들의 필요성에

따라서 문법이면 문법 관련, 회화면 회화 관련 식으로, 혹은 듣기나 말하기, 쓰기로 나누어서

그에 맞춰 제목이 다양한데, 심지어는 "영어 공부 하지 마라" 라는 제목의 책이 한동안

회자된 적도 있었다. 어떻게 하면 영어에 통달할 수 있을까 로 고민하던 사람들이

어느 날 갑자기 다가 온 영어 공부 하지 마라의 제목의 책은 얼마나 획기적인 제목이었는지

그 속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관심을 크게 끌었었다. 그 제목에 이끌려 책을 읽어 본 사람들은

"결국 영어 공부를 하라는 이야기 이다" 라고 하는 결론에 이르기도 했었다.

 

한국인이 경험했던 바 대로의 영어 공부에 관련한 분투 혹은 노력 중에 얻어진 영어 공부

방법론에 관한 책이 아니라 저자는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이라는 점, 외국인이 느끼고

표현해 주는 외국어 공부 경험, 특히 10여 개의 언어들을 한꺼번에 익히면서 어떤 방식으로

다루었는지에 이야기를 들어 보고 싶게 했다.

 

영어를 자리 잡고 나서 일본어, 중국어에도 도전을 한 경험이 있는 나로선 모국어 vs 외국어가

아니라 여러 언어를 할 때의 뒤섞임에 대한 불안감도 적지 않았었고 실제로, 영어와 중국어의

어순은 비슷하나 한국어의 어순과 비슷한 일본어, 이런 구조 때문에라도 한동안 어지러웠다.

이런 내 경험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어떤 생각인지도 관심이 갔었다.

 

우선, 열정을 가지고 동기가 무엇인지 확인을 한 후 말하기에 뛰어 들라고 하고 있다.

한정도 없는 시간적인 기간을 두지 말고 마감 기한을 정하는 것, 외국어를 배우기 위해

그 해당 국가로 처음 떠날 때 받는 여행 비자의 체류 기간이 공교롭게도 3개월 이라는 것.

 

마감기한을 두고 매진을 한다는 면에서는 어느 정도 공감이 이뤄졌으나 여행 체류 기간인

3개월을 맞춰 그 사이에 언어 연습을 하라는 내용은 공감 보다는 너무 쉽게 생각하고

시작해서 너무 빠른 결과를 기대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앞섰다.

물론, 간단한 의사 소통 면에서야 그 기간까지 아니더라도 공항에서 여행용 문장을

정리해 놓은 책 들을 외우면 아주 짧은 시간안에 그 나라 언어를 사용할 가능성은 있다.

그래서 난 저자가 말하고 있는 "유창" 의 의미를 되짚어 봤다.

우리들이 흔히 생각하는, 물 흐르듯이 막힘없이의 의미인 유창함의 뜻이 아니라 아마도

저자는 적당한 선, 이 또한 좀 모호한 부분이 없잖아 있긴 한데, 생활적으로 별 불편할 일이

없이 표현하는 정도 까지 선을 긋고 있는 것 같다.

욕심을 어디까지 두느냐 하는 그 경계의 문제인 것 같기도 했다.

주변에서 보면 영어 구사를 꽤 하고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외국인이 대화를 시작하려 하면

영어 잘 하지 못한다고, 어찌 보면 겸손의 의미 인 것 같기도 하나 우리들의 기준에서 본다면

마치 아예 영어를 못 하는 것으로 치부해 버리는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을 고려 해 볼 때

유창함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지도 모른다.

 

비단, 영어 에서만이 아니라 프랑스 어 독일 어 등 익혀서 나쁠 일 없는 외국어가 줄줄이

존재하고 있는 만큼 우리들의 생각, 유창의 단계나 그 선을 어디까지 두는가를 확실히

그어 놓고 시작한다면 좀 더 흥미롭게 연습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봤다.

요즘은 편리한 앱(application) 과 유용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사 소통의 기회등

다양한 방법들까지 줄을 서 있으니 더욱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에 있어서는 자신의

노력에 탓을 해야 함이 마땅한 시대가 되어 버린 것 같다.

 

역시 언어의 습득에는 어떤 이론 보다도 실천이 우선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