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가메시 서사시 - 인류 최초의 신화 ㅣ 현대지성 클래식 40
앤드류 조지 엮음, 공경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인류 최초의 신화" 라고 불리우는 만큼 이해도도, 알고 있던 내용도 거의 없이 오로지, <길가메시>라는 이름에 이끌려 이 책을 온전히 탐구해 보리라, 시작을 하게 되었다. 오래된 이야기 만큼 불확실하고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는 것은 누구라도 알 수 있는 부분일 것인데 점토판에 기록된 설형 문자로 이루어진 이야기들을 출토하고 번역해 내고, 다시 그 이야기들을 이어가는 작업이 쉬울 리는 없는 것이다. 출토해 낼 때 마다 이야기들은 더욱 추가가 되고 이어지지 않던 이야기가 다시 이어져 가는 그 작업들이 완성이 되는 그 날까지 길가메시 신화는 아직도 현재 진행중이기는 하다.
길가메시 서사시를 영어로 번역해 낸 저자는 앤드류 조지라는 바빌로니아 전공 교수이다. 설형문자로 씌여진 길가메시 서사시는 그 저자를 알 수 없지만 출토된 점토판의 이야기들을 번역해 낸 이 교수는 수메르어와 아카드어를 가르치며 연구 중에 있다. 신화인 만큼, 우리의 단군신화의 웅녀와 환웅만큼이나 정녕 사람들의 이야기였을까 싶을 정도로 인간의 이야기가 아닌 듯한 느낌도 물씬 풍긴다. 그래서 이해도가 더 떨어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그 속에는 반신반인의 피를 이어 받고 태어난 길가메시가 우루크의 왕이고 그 주변 인물들과 신들의 이야기가 주 내용이다. 신과 인간의, 삶과 죽음을, 전투와 모험을, 그러다가 다가온 죽음의 그림자, 피할 수 없는 죽음의 정체를 파헤치고 불멸을 얻으려고 찾고자 하는 길가메시의 행적이 고스란히 나열되어 있다.
1부에서 4부로 나누어서 그 뒤편에는 해설과 연표를 게재하고 있다. 1부에서 3부까지는 아카드어와 수메르어로 표현된 내용들을 분류하여 실어놓았고, 파편적으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수메르어 판 내용까지 추가로 실어 둔 점에서 "현존하는 가장 완벽한 형태의 오리지널 텍스트" 라고 할 만 하다. 시적 표현으로 이루어진 전편이 의미하는 바를 해설에 추가로 자세히 설명해 둔 부분이 독자로서는 이해하는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시가 그렇듯 읊어 놓은 내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이해하기 힘들다면 읽기에도 아주 좋지 않은 조건이 될 지도 모른다. 독자를 위한 배려 중 하나로, 이 책을 읽기 위한 방식도 눈여겨 봐 두고 읽기에 돌입해야 한다. 대괄호와 이텔릭체, 대괄호 속의 이텔릭체, 말줄임표, 그리고 특별한 기호를 사용하여 실제 점토판에서 나온 그대로의 해석과 읽기 쉽게 하기 위한 설명 부분의 차이라는 것을 이런 방식으로 표현해 두었다. 어쩌면 그 당시의 길가메시의 삶에 이렇게라도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독서라면 인생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도 조금 더 넓혀지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이야기는 마치 영화 속에서 보던 장면들 처럼 인간이긴 하되 야생에서 야수들 처럼 살아가는 그런 모습들이 연상될 정도이다.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와 그의 동료이자 친구인 엔키두, 그 주위의 신들과 신전의 수호자, 삼나무 숲의 수호자, 이런 등장인물은 삶을 함께 해 가는 인간들이며 이들에게 펼쳐진 삶의 내용들과 모험은 거칠기가 그지없는 삶의 모습이다. 특히 길가메시가 예비 신부의 초야권을 당연한 듯 가진다는 것이 언젠가 보았던 영화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했고 신화적인 내용에서 부터 전해져 내려오고 있었구나, 싶었다. 엔키두와 함께 했던 모험, 그리고 그 엔키두가 죽게 되었을 때의, 죽은 후 며칠이 지난 후에 있었던 현상, 길가메시의 표현으로, 코로 구더기가 나오더라, 하면서, 죽음의 정체를 알기 위해 떠났던 여행까지, 그럼에도 죽음을 결코 피할 수 없었던 그의 모험적 삶의 이야기는 어쩌면 진시황의 불로초 구하기 같았다. 엔키두의 죽음 앞에서 자신도 결국 죽게 되고 말 것이라는 인생의 깨달음, 삶과 죽음의 갈림길, 죽음의 실체를 알기 위해 떠났던 방랑, 어디를 향해 나아갔을까...를 생각하며 읽어가면서, 전체적인 느낌으로는, 신화적 뼈대를 가지고 시적 표현으로 구사해 낸 내용들이 읽기에 쉽지는 않구나, 였다.
인상 깊었던 내용 중에서 한 토막 적어본다. 신이 인간을 창조해 낼 수 밖에 없었던 그 때, 신들은 자신들이 해야 할 노동을 피하기 위해 인간을 한 움큼의 흙으로 생산해 내었고 그들이 져야 했을 짐을 인간이 대신 지도록 했다. 게다가 그들에게 재물과 제사를 바치게 했다. 인간의 숫자가 급격히 불어나자 그 소음에 못 이겼던 신은 인간의 숫자를 줄이기 위해 역병, 가뭄, 기근을 생겨나게 했다하니, 이런 이야기들이 결국 인간이 져야 할 굴레였던 것인가, 코로나 역병에 시달리는 현재에도 어쩔 수 없이 줄어가는 인구를 보면서 인간의 무력함을 이런 시점에 대입해 보게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