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는 인간에 대하여 - 라틴어 수업, 두 번째 시간
한동일 지음 / 흐름출판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틴어 수업>, <로마법 수업>의 저자 한동일님이 <믿는 인간에 대하여> 라는 제목의 책으로 종교에 보다 더 가까이 다가가서 말하고 있다.

정치나 종교 부문은 서로 의견 교환을 하기가 상당히 조심스러운 주제인지라 본격적인 설명과 심도 깊은 내용으로 삼고 있지는 않지만 맛배기, 혹은 도입부 정도로만 다루고 있어도 나 같은 독자에게는 상당히 유익한 설명으로 다가왔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도시 국가, 바티칸 시티의 유래, 서양사는 종교사 임을, 그래서 서양사를 알고자 할 때에는 종교부분을 피할 수가 없다는, 신과 인간의 역할, 교황과 왕의 위치, 이런 이유로 사회적, 문화적으로 끼친 영향들, 이런 것들이 참 흥미로웠다. 특히 코로나19와 의사의 위치, 역할 등 시민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의 성찰에 대한 문제는 독자에게 질문처럼, 과제처럼 던져 주고 있어서 더욱 좋았다.



목차 중에서, "생각의 어른", "같음을 찾고 차이를 만든다.", "수도복이 수도승을 만들지 않는다.", "천국의 지옥의 차이는 존재의 태도에서 온다." 등 모두 19장으로 읽게 되어 있는데 내용으로 들어가 보면 저자의 예루살렘, 레바논, 이탈리아를 방문했던 경험과 그 에피소드에서 나온 철학등이 가벼운 듯 시작하여 결국은 인생을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야 하며 코로나 시대의 분노에 가까운 우울을 다스릴 수 있도록 어떻게 대처해 가야 할 지, 종교의 역할과 신께 다가가는 방식 등 다양하게 접근하여 궁극점을 향하여 달리는 묘사를 한다. 이런 접근법도 독자를 끌어 들이는 힘의 한 방편이라 생각이 되는데 끝에 남게 되는 과제가 가볍지 않다는 점이 더욱 유익함을 느끼게 하는 것 같다.



책의 내용 중에서 인상 깊었던 구절을 남겨 보고자 한다.

"신에게 무엇을 해 달라고 보채는 기도에서 벗어나 내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성찰의 기도가 필요하다."

"삶의 본질 앞에서 질문하는 사람"

"서양사는 교회사로서 종교 권력과 세속 권력간의 투쟁과 암투의 역사"

"인간이 기도하지 않는 세상이 될 때 그때야말로 인간 세상은 평화로워지지 않을까"

"예루살렘의 새벽을 깨우는 기도 소리를 멈출 수 없는 것 처럼 할 수 없는 일은 내려 놓아야 한다."



역시, 예루살렘과 레바논, 그들이 처한 현실에서, 또한 종교조차도 풀지 못한, 종교의 다양함에도 결국 하나의 신을 향해 있음을, 인간이 해결하지 못한 것을 신을 찾으며 해결하려 한다는 점, 이런 것들에서 인간인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를 되돌아 보게 한다. 은은하고 조용하게 울리는 울림 같은 글과 문장들 이었다. 서로 말하기 까다로운 주제 중의 하나였던 종교의 역사와 발전을 읽어가면서 이것이 의학과 주술, 미신 등으로 흘러가며 다시 분화, 발전되어가는 이야기들, 마귀에 씌인 환자를 돌보는 신부 사제, 수도원의 식습관, 이런 것들이 작은 주제로 어우러져서 다시 오늘날의 사회를 돌아보게 하는 마법같은 글들이 독자들에게 파고들고도 남을 것 같다.



마음 속에 남아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을 문장들도 꽤 많았다. 힘들고 각박한 시대를 살아가더라도 하늘의 움직이지 않는 별이 되어 다른 사람들의 지표가 되어 줄 수 있을 정도로 살아 내든지, 혹은 그 하나의 별 이라도 목표 지점으로 세워 둘 수 있는 삶을 살아 가든지, 인생길에 터벅터벅 걸어가다가도 다시 한 번 되돌아 볼 수 있는 삶을 살아내자는 저자의 조용한 울림이 가득한 책이다. 위로와 삶의 철학을 한꺼번에 얻을 수 있는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