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전쟁 - 많은 일을 하고도 여유로운 사람들의 비밀
로라 밴더캠 지음 / 더퀘스트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혹시나 했었다. 내 시간을 아낄 수 있는 방법을 알게 하여 지금보다는 더 여유있고 넉넉하게 시간을 잘 꾸려갈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하기도 했었다. 그런데, 그런 것과는 좀 다른 내용으로 전개를 하고 있다. 시간 전쟁이라는 제목에서 보여주는 치열함 이랄까, 그런 부분은 예상하지 않는 편이 나을 지도 모르겠다. 왜냐면, 저자의 생활 이야기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니까. 생활 이야기 그 자체는, 물론 치열하게 투쟁하듯 24시간을 꽉꽉 채워가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 저자도 하루하루 어떻게 시간이 지났는지 모를 정도로 숨가쁜 생활의 연속이었긴 했었지만, 그냥 별다른 것 없고 바쁘기만 한 것이 생활 아니던가 싶다. 그래서 저자도 그렇게 무의미한 듯한 생활에서 벗어나고자 이런 실험도 해 보고 좀 더 나은 방법 없나 궁리해 가다 보니 시간을 더 여유있게 쓰는 방법까지 도달하게 된 것은 아닌가 싶다. 


자, 그 방법 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이 책을 읽고 나니 독자들 마다 자신만의 노하우를 한 번 정리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왜냐면, 이 책 이전에 나도,  저자가 실험했던, 내 시간들은 다 어디로 갔나, 시간 추적과 같은 비슷한 일을 해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좀 더 동질감과 공감을 하면서 읽어갔다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세 아이를 키우는 엄마이며 다시 막내 아이가 생겨나 일이 더 많아진, 흔하게 볼 수 있는 수퍼 맘 격이다. 자신만의 시간을 즐기기에도 빠듯한 시대에 육아와 일을 겸한다는 것, 생각만 해도 시간이 부족할 뿐이다. 우리 또한 마찬가지 이다. 시간 도둑을 없애려고 참, 무던히도 애를 써 보지만 그게 쉽지도 않을 뿐더러 하고 싶은 일 조차 할 시간을 낼 틈이 없다. 마음은 바쁘고 하루는 짧고, 그래서 이 책 제목처럼 시간과 사투를 벌이는 것인지도 모른다.


책의 전개는 읽기 편하게 되어 있다. 시간을 바라보는 자세, 어디에서 시간이 새고 있는지, 도입부는 평범하지만 그것을 바라보고 파고드는 생각은 참 깊기만 하다. 시간을 찾아 나서는 와중에 정신적인 안정감부터 챙기기에 들어가는 것을 보면 역시, 잘 살기, 행복 추구가 그 목표로 드러난다. 시간을 잘 찾아 내어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그러면서 좀 더 늘어난 시간 속에서 행복을 누리자는 취지이다. 


그 첫번째가 바로 마음 챙김에서 출발한다. 이것이 바로 선택으로, 끝내는 자유에 이르게 한다. 저자가 소개하고 있는 하루 일상들은 여늬 육아하는 엄마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커피 한 잔 제대로 마시지 못하는 일상이 결코 행복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겠다만, 숨어있는 시간을 찾아내고 잘 사용할 수 있다면 하고 싶은 일을 즐길 수도 있고 그러므로 행복하자는 그것, 참 옳은 말씀이다.


저자가 소개하는 시간 찾기 방법은, 각 30분 간격으로 무엇을 했는지를 계속 기록하는 것이다. 아침에 기상하면서 부터 30분 간격 기록은 결국 내 시간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나는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한다. 


낯선 방법은 아니다. 이미 해 본 적도 있고. 시간을 무척이나 귀하게 생각하던 옛날 러시아 사람이었던가, 메모장에 계속 적으며 살아왔던 사람이 있었더라는 희미한 기억도 있다. 그런데 실시 해 보았을 때 정말 효과가 있었다. 매우 길게 느껴졌던 힘겨움이 기록장에서 나타난 시간으로는 그리 길지 않았다는 것, 체감하는 것과는 좀 다른 모습의 시간이 시각적으로 느껴진다는 점을 알 수가 있게 한다. 단, 저자처럼 일 년에 책을 더 읽고 강연을 더 할 수 있을만큼 시간을 보람차게 활용하지는 못했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더 체계적으로 한 번 실시해 볼 작정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렇게 하여 생겨난, 아낀 시간을 어디에 더 활용할 것인지 이 또한 생각을 해 보아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