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와 고흐 : 따뜻한 위로가 필요할 때 - 전통과 도덕적 가치를 허문 망치 든 철학자의 말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공공인문학포럼 엮음, 빈센트 반 고흐 그림 / 스타북스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번에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호사로운 책이다. 고흐의 그림을 이 보다 더 많이 감상할 기회가 있었던가 싶을 정도로 각 페이지마다 한 점 씩 차지하고 있다.

살아생전 빛 한 번 볼 수 없었던 불행한 화가는 그 만의 삶을 그림 하나로 꽉 채웠다. 제 3자가 그의 인생을 객관적으로 보면서 세속적인 성공과 행복의 잣대를 들이대며 그는 행복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긴 하지만 각 페이지마다 실려있는 많은 작품을 대하고 보니 그는 무척이나 진하고 알찬 행복을 느끼며 인생을 살다 갔구나, 싶은 마음도 들게 한다. 타인의 눈에는 불행으로 보였을지라도 고흐 본인은 그것이 그가 누릴 수 있었던 인생 최대의 행복 아니었을까 싶은, 그런 생각이 들 만큼 작품 각각은 삶의 아름다움과 일상이 녹아있다. 그런데 여기에다가, 개인적으로 대단히 좋아하는 니체의 생각들이 왼쪽 면을 차지하고 있으니 책 좀 좋아라, 하는 독자에게는 이 책이 마치 선물처럼 느껴지게 할 것이다. 펼 때 마다 니체의 글과 고흐의 작품을 한 자리에 둘 수 있으니 저절로 기쁨이 솟아 오르게 하는 것이다. 그야말로 행복 엔돌핀을 자아내게 한다.


니체의 저서, <이 사람을 보라>,<비극의 탄생>,<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등에서 발췌한 글들이 아주 풍성하다. 각각의 저서 하나 씩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때와는 좀 더 다른, 종합 선물 상자와 같은 맛도 한 자리에서 느낄 수 있다는 것도 큰 즐거움으로 다가온다.



아름다움/삶/신은 죽었다/지혜/인간/존재/세상/사색/예술가

이런 주제로 니체의 글과 고흐의 작품이 어우러지는 멋진 콜라보, 정말 즐길 만 하다.


"침묵은 상대방을 배려하지 않는다. 가장 잔인한 위선이다. 자신의 불평을 삼켜 버림으로써 상대방의 가치를 훼손한다."  (32쪽)


침묵은 금이었다 항상, 습관적으로, 침묵하면 늘 먼저 떠올랐던 표현이었다. 그런데 니체의 이 글을 대하는 순간 이제는 침묵의 이미지는 또 하나 추가되었다.


고흐가 그림 속에 살다 불행한 죽음으로 삶을 마감했듯 니체 또한 살아 생전 그다지 인정받지 못했던 듯 하다. 늘 삐딱한 사고와 인생에 던지는 질문들이 그를 여늬 평범했던 사람들과는 다른 삶을 살게 했다. 그런 면에서 동시대적 두 인간, 고흐와 니체는 나란히 발걸음을 함께 한다.


"인간에게 용기는 가장 훌륭한 살인자다. 공격하는 용기 그것은 죽음까지도 살해한다. <그게 삶이던가, 그럼 좋다, 다시 한 번!!>, 이라고 외치기 때문이다. "    (42쪽)



"만약 하루의 2/3 정도를 자신을 위해 사용할 수 없는 인간이라면 그가 정치가이든 상인이든 혹은 관리나 학자이든 그저 노예일 뿐이다."   (122쪽)



역시, 고전은 고전이다, 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구절이다. 오늘날 기준으로 결코 장수하지 못했던 두 거장이 만나서 이렇게 시대를 뛰어 넘어, 시대를 앞지르는 명언과 그림을 작품으로 남겼다. 그들 작품을 읽고 감상하는 우리는 행운아들이 아닐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