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길들임의 역사 - 인류의 생존을 이끈 선택과 협력의 연대기
앨리스 로버트 지음, 김명주 옮김 / 푸른숲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에는 쉽지 않아 제목 위에 놓여 있는 글귀에 의존해 보려 한다. 

"인류의 생존을 이끈 선택과 협력의 연대기" 라고. 우리 인류가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인 순간들, 특히 가축과 식량에 관한 발생과 진화, 그 유래와 흐름 등을 유전학적인 접근과 역사적인 순간들을 조사해 가며 잘 서술해 두었다. 저자가 생물 인류학자이자 해부학자라는 소개에서만 보아도 이미 어떻게 전개하고 있을지 짐작이 갈 수 있을 것이다. 


10가지 종을 들어서 선사 시대, 신석기, 청동기 때 부터 그것이 갖는 의미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기술하였으니 내용은 상당히 진득하고 무겁기도 하지만 초보자들에게도 그다지 어렵지 않은 문장체 이므로 읽기에 부담은 크지 않다. <총균쇠><사피엔스>를 이은 책으로까지 언급하고 있으니 가볍지 않게 다가가는 책 임에는 분명하다.


10가지 종의 시작은 개 이다. 개만 보아도 그 변천은 상당할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요즘의 개는 내가 어렸을 적의 그 개의 의미와 사뭇 다르기까지 하다는 생각을 하게 해서이기도 하다. 컵에 들여 놓을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사이즈의 개까지 등장했으니 굳이 옛날 옛적 신석기 청동기 때로 거슬러 올라 가지 않더라도 변천의 정도는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밀, 옥수수, 감자, 소, 말, 닭 등 친밀하기 그지 없이 잘 지내고 있는 우리의 식량, 우리에게는 뗄 수 없는 중요한 종들의 유래와 변화는 어떤 독자들에게는 상당한 지식 분야로까지 끌어 들일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고 어려운 용어의 등장은 책읽기를 멈추게 하지도 않는다. 종의 이름과 옛 지명, 대륙의 이동과 기후 변화와 같은 제반 조건들의 변천, 그것들을 세심하게 추적하고 알아가는 과정으로 그 기원을 추적해 본다. 크게 흥미롭다고 할 수는 없으나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기 전 까지의 구세계에서 발견 후의 신세계 시대의 차이점은 "콜럼버스 교환" 이라는 단어까지 나오게 된다. 대륙간 지형상에서 다시 기온의 변화로 이어진 통로의 근접성 같은 조건들이, 인간의 이동으로 이뤄진 변천까지, 하나 씩 밝혀 들어간 연구 과제들이 독자들에게 그 기원을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주식인 쌀, 서양의 밀과 옥수수 같은 식량원, 그리고 농업을 번성시킨 소와 말, 닭과 같은, 그리고 딱히 농업과는 무관한 듯 보이는 개 등, 야생 동물들이 인간에게 가축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는 어쨌든 인간에게는 이로운 방향으로 길들여서 쓰임이 오늘에 이르렀음을 밝혀 내고 있다. 연구를 통해 그 과정과 답을 찾아가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비록 정답이 아닐지라도 그 근거를 나름대로 추적해 들어가고 있다.


끝부분으로, 인류를 기술하고 있는데에서 이 부분이 특히 마음에 와 닿는다. 오밀조밀 모여서 잘 살아가며 공격성이 덜 하고 사회성이 잘 된 것으로 보이는 인간을, 잘 길들여졌다, 혹은 유전학 적으로도 우위에 설 수 있다는 점을 서술하고 있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잘 길들여지다의 의미는 또한 얼굴 형태 까지도 변모 시킬 수 있다는 부분도 꽤나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