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보는 미술관 - 나만의 감각으로 명작과 마주하는 시간
오시안 워드 지음, 이선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벽에 걸려있는 명화를 바라 볼 때에 드는 생각, 미술관을 둘러 보며 하게 되는 생각은 좀 더 그림에 가까이 다가가고 싶다, 그림의 뜻과 해석을 잘 해 내고 싶다, 작가는 그림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걸까, 라는 것이다.   <혼자 보는 미술관>을 통하여 이 생각에 대한 갈증을 어느 정도 해소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정통 그림을 배우고, 학문적으로 지식적으로 파고 들 일이 아니라면 언제든 명화가 주는 의미와 그 속에서 스스로 깨우치게 되는 방법을, 그것도 단계별로 차차 알게하는 책이다.  사실 미술관에 들어가서 감상을 시작하면 정답이라는 것이 있긴 할까, 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는데 그래서 더욱 과감하게 제멋대로 평가하기 십상이었다. 방법이야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 이쪽 저쪽, 왔다갔다, 빛에 의해 달라지거나 사람들에 둘러 싸여 있거나, 이런저런 방식으로 그림을 들여다 보면 금방 마음에 들어 버리는 그림도 있었고, 아무리 본다 하여도 대체 무엇을 말하는지, 왜 그렸는지도 알 수 없게 다가오는 작품들도 있게 마련이다.


 이 책에서도 이런 면을 지적하고 있다. 혼자서 일단 감상하기 부터, 그 다음은 선입견을 버리고 명화 앞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 것부터 그 출발을 두었다. 아무렇게나 감상하던  때 보다는 역시 뭔가 알고 시작하는 것도 도움이 될 터, TABULA RASA 를 제시한다.


우리 식으로 생각하면 그 머릿 글자를 따서, 시간의 T, 관계의 A, 배경의 B, 이해하기의 U, 다시 보기의 L, 평가하기의 A 부터 서서히 읽어가다 보면 차츰 하나 씩 물들어간다는 느낌도 받게 된다. 전혀 알 수 없던 미지의 세계를 나 홀로 방황하듯 감상하던 그 방식이 어느 정도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그 느낌을 갖게 한다고나 할까. 여기에서 더 나아가 리듬, 비유, 구도, 분위기까지 고려해 가다 보면 어느 정도 그림의 기본적인 느낌이 조금은 달라지게 되는 것을 독자에게서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본격적인 내용으로의 진입, 나로서는 이 과정 자체가 아주 흥미로웠다. 갑자기 어려워진다거나 읽어가면서 깊이를 알 수 없는 명화 감상법으로 빠지게 하는 것 보다는 단계 별로 익숙하게 해 가는 그 과정이 아주 좋았다. 공부의 느낌 보다는 여기에서는 이렇게,  그 다음에는 다시 이것을, 하는 방식으로 서서히 독자를 끌어가는 그 자체가 어렵지 않게 감상법으로 저절로 들어가게 하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물론 제시한 명화들을 본격적으로 감상하면서 예전에 본 적 있는 명화들 위주로 저자는 갈래를 두었다.  철학적인 면, 종교적인 면, 신화적인, 그리고 인간의 공포를 표현한, 농담과 풍자, 그리고 모순까지 명화 속에서 표현된 것들을 각각의  작품들로  묶어서 감상하는 시간도 갖는다.


독자가 따라가기 쉽게 설명해 가는 좋은 구조와 주제별로 묶은 그림 감상, 독자에게 유익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