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 묻고, 톨스토이가 답하다 - 내 인생에 빛이 되어준 톨스토이의 말
이희인 지음 / 홍익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마음이 맞는 친구를 만난 느낌을 받았다. 저자의 이야기를 읽어갈수록 몰입하게 되고,  더욱 흥미로운 마음으로 그 다음 페이지를 넘어가게 한 이유가 바로 이런 생각에서 일 것이다.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를 양 손에 들고 어느 쪽에 더 무게감을 두는지 고개 갸웃거린다는 저자의 두 작가에 대한 애정은 거의 무한일 것 같다. 왜냐면, 톨스토이의 넓이와 도스토옙스키의 깊이 두 가지로써 인생의 답을 얻을 수 있다고 단정 짓는 분인 까닭이다. 덕분에, 인생에 대한 길고 난해한 질문들에 조금은 가까운 답을 생각해 보기 위한 기회도 갖는다.


우선, 저자가 두 작가에게서 받은 그 영광스러운 답은 무엇일까, 궁금해 하며 톨스토이의 세계와 넓이가 어느 정도일지 가늠해 보려고 했다. 지금까지는 그저 읽어왔던, 대문호 톨스토이의 작품이기 때문에 접했던 안나 카레니나, 바보 이반, 크로이체르 소나타 등의 이면에 이런 많은 생각들과 연결성이 있었던가 싶을 정도로 저자의 이야기는 매 장마다 각각의 주제를 잡아 실타래를 풀듯 이어간다.


사랑, 결혼, 죽음, 인생, 톨스토이의 작품 속에 들어있는 주제들이다.  저자는, <톨스토이에 없는 것은 우리 삶에도 없는 것이다.> 라고 표현할 정도로 인생과 톨스토이의 작품을 연결하여 그 속에 모든 것이 있었고, 그것을 하나하나 찾아서 밝혀내고 있다. 


첫 구절부터 마음을 사로잡는다. <사랑, 지나고 나면 마음의 사치>, <죽음은 어째서 늘 이기는가?>, 와 같은 소제목들이, 저자가 광고 카피라이터 라고 일깨워 준다. 표현 멋진 걸, 감탄을 하며 책장을 넘기는 맛이 쏠쏠했다. 저자 덕분에, 톨스토이의 무덤까지 찾아갔던  톨스토이 덕후, 그 열정의 저자로 인해 톨스토이를 재조명하게 되는 기회, 거기에 그의 작품들까지, 독자로서는 몰랐었던 느낌과 안목을 부여받는 기분이다.


2시간의 러닝 타임동안 진행되는 영화조차 단지, 휴대폰을 손에서 놓을 수 없다는 이유로 외면 받는 시대에, 4차 산업혁명이 이미 도래했고 인공지능이 사람의 역할을 해 내려고 하는 이 시대에, 케케 묵은 먼지로 덮인 고전 속 인물이 어떤 의미가 되어 줄 지 저자는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를 모셔와 화두에 올려 두었다. 새로이 다가서는 톨스토이의 진면목을 다시 돌아보게 되는 시간을 충분히 갖게 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