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이야기
로이드 모츠 외 지음, 차동우 외 옮김 / 전파과학사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음악을 배울때는 모차르트의 교향굑 41번 '쥬피터' 라든가, 베토벤의 교향곡 5번 '운명'이라든가 하는 식으로 작품과 그 저자를 한데 묶어서 배운다. 그래서 작품은 모를지언정 바흐라든가 베토벤이라든가 슈베르트 같은 이름들은 익숙해지는 것 같다. 나는 과학도 그렇게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패러데이와 맥스웰, 톰슨을 모르고 전자기 현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너무 어려운 길을 돌아돌아 가는 것이다.  헤르츠를 알아야 전파를 이해할 것이고 뉴턴을 알아야 고전물리를 자기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을 다시 또 읽게 된 것은 중3 아들의 과학 1단원이 전기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축전기와 저항, 전류, 정전기의 대전현상 같은 것으로 시작해서 전기에 대해 알아야 한다. 그런데 교과서의 설명과 실험만으로는 전기가 무엇인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다.

 과학 선행이 되어있지도 않고 평소에 과학 서적을 읽지도 않았던 아들은 요즘 말로 1도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했다. 1780년대 이탈리아의 과학자 볼타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발견되었고 전류에 대한 연구와 전지를 만드는 기술연구가 뒤따랐다. 그후 페러데이에 의해 전자기 유도현상이 발견되었고 맥스웰은 전기장과 자기장을 통합하였다. 헤르츠는 전기가 파동을 만드는 것을 실험으로 밝혔으며 이것은 전파공학의 시작을 알렸다. 1899년 톰슨에 의해 전자가 발견되었고 그 이후로 전자의 성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다.

 그러니까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전기의 힘을 인간이 이렇게 쓸수 있게 된 것은 그리 오래지 않았다는 것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여러 유명한 천재 과학자들에 의해 물리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문명의 이기들은 거의 이시기에 만들어졌다. 길어야 200년 정도의 역사인데 이 부분을 좀더 자세히 공부했으면 좋겠다.

 그런 점에서 1993년에 산 이책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옆에두고 궁금한 부분을 찾아 읽기에 정말 좋다. 이번에 세번째 읽는 것인데 빈 곳이 채워지고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이 이해되는 기쁨을 느끼고 있다. 물리를 쉽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나는 그 방법으로써 음악작품이나 미술작품을 배우듯이 각각 물리학자들의 생애와 그들의 업적을 역사적인 배경과 함께 배워나가는 것이 학교에서 채택되었으면 좋겠다.

 그냥 입시용교육이 아니라 세상의 이치를 배우고 궁금증을 갖고 그것을 해결하고 싶은 마음을 품게 해주는 것이 진정한 교육이 아닐까?

 나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이제 25년이 되어가는데 이제야 물리학을 제대로 공부하는 것 같다.

대학때 물리를 지지리도 못했는데 다시 한다면 그때보다는 잘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