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눈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24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차은정 옮김 / 민음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양이눈1 _민음사 세계문학전집-424

 

이 작품은 화가 일레인 리슬리의 예술가로서의 성장을 그려낸 예술가 소설입니다.

권위적인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한 재치 있는 환상 소설을 펴내며 캐나다 최초의 페미니즘 여성 작가로 평가받는 마거릿 애트우드의 여섯 번째 장편소설 대표작 고양이 눈이 세계문학전집 424, 425번으로 민음사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오래전에 민음사 모던 클래식 작품으로 읽은 기억이 있습니다.

 

애트우드의 대표작인 고양이 눈은 화가 일레인 리슬리의 성장을 그려 낸 예술 소설입니다. 변형된 작가의 자아인 일레인의 삶을 그린 자전적 소설에서 애트우드는 1930년대 말 문화의 불모지였던 캐나다에서 출생한 여성이 예술가로서 입지를 다져 가는 과정을 보여 줍니다. 유년기 유희의 대상이자 아무도 보호해 주지 않는 어린 일레인을 지켜주는 부적 같은 존재 고양이 눈기대가 되는 작품입니다.

 

곤충학자인 아버지를 따라 숲을 돌아다니는 유목민 같은 삶을 살던 일레인은 개인전을 위해 고향인 토론토에 정착한 이후에야 책 속에서 보던 진짜 여자 친구를 사귀에 됩니다. 우정이라는 이름으로 코딜리어가 주도하는 잔인한 조정과 교정에 맞닥뜨리게 되는데 이는 일레인 가족의 생활 방식이 1940-1950년대의 편협하고 가부장적인 토론토 중산층의 행동 양식과는 너무나 달랐기 때문입니다. 소녀들은 이턴 카탈로그를 오려 붙이고 종이 인형을 갖고 노는 자신들의 사소한 놀이조차 당대 사회의 관습과 규범의 산물이라는 것을 전혀 의식하지 못합니다. 일레인의 외모, 행동거지에 대한 지적들이 이를 대변해 주고 있습니다. 일레인은 자신이 여자 애들 흉내를 내는 것이라고 느낍니다. 이런 사회에서 아버지들과 종교의 신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가장 큰 힘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입니다. 열렬한 기독교 신자인 그레이스 어머니는 일레인과 그녀의 가족이 이교도적이라는 이유로 여자아이들의 잔인한 행동을 묵인하고 코딜리어는 가부장적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한 좌절감을 일레인에게 쏟아붓습니다.

 

코딜리어가 내게 그렇게 위세를 부리던 그 영원히 지속될 것 같던 시기, 나는 발의 살같을 벗겨 내곤 했다. 주로 자야할 밤에...

 

 

연작의 제목을 압력솥이라고 붙인 장면이 인상 깊었습니다. 제작된 시기과 그 당시 유행하던 경향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대지의 여신에 대한 것으로 생각 했으나 돌아가신 어머니가 얼마나 집안일을 싫어했는지 생각해 보면 우수꽝스러운 발상이라고 했고 이것이 여성의 노예화에 대한 것이라 생각 했으니 어머니와 사별 직후 이 작품을 그렸습니다.

 

 

나를 내버려 두지 말아요. 맙소사, 제발 나를 혼자 남겨 두지 말아요.” 그녀의 눈은 감겨 있고 목소리는 순전한 곤궁함, 순전한 비통함으로 가득차 있다. 그것은 나의 가장 약한 부분, 가장 슬픔에 민감한 부분을 건드린다. 그러나 나는 결핍이 무엇인지, 상실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의 대리인에 불과하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P.274 1

 

 

고양이 눈은 유년기 유희의 대상이자 아무도 보호해 주지 않는 어린 일레인을 지켜 주는 부적같은 존재로 잃어버린 과거를 망각에서 되살려 주어 삶 전체를 보게 만드는 제삼의 눈, 잃은 것, 부서진 것들을 되살리고 결합해 주는 상징입니다. 작가 애트우드는 이전 문학 작품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녀들 간의 갈등을 작품 중심에 놓아 그것을 당대 사회를 들여다보는 것으로 사용했습니다.여자 아이들은 문화에 새롭게 편입된 일레인의 낯선 시선을 통해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 일레인을 희생자로 만드는 소녀들의 잔인성도 엿볼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