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피엔스혁명 - 인류라고 정의하는 거의 모든 것의 시작
성춘택 지음 / 사회평론아카데미 / 2025년 4월
평점 :

사피엔스혁명_ 인류라고 정의하는 거의 모든 것의 시작
출판사 제공 도서
사피엔스 혁명은 고고학 연구를 바탕으로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의 생물학적, 문화적 기원이 후기 구석기시대에 있음을 밝히는 학술교양입니다.성춘택 저자는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고고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인류학과에서 고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은 전문가로 그동안 알고 있던 사피엔스의 얕은 지식에 업그레이드 하는 책으로 기대가 됩니다.
사피엔스의 혁명은 인류라고 정의하는 거의 모든 것의 시작은 고고학 연구를 바탕으로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생물학·문화적 기원이 후기 구석기 시대에 있음을 밝힙니다. 책은 아프리카를 벗어나 전 세계로 퍼져나간 후기 구석기 수렵,채집민은 동굴 벽화와 비너스상으로 대표되는 예술과 상징, 현대 사회 존속의 근간인 공유와 협력, 평등 지향 등 오늘날 인류라고 정의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그동안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와 미래에 대한 가장 의미있게 찾아온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를 접했다면 이 책 사피엔스 혁명은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인 지은이는 이를 ‘사피엔스혁명’이라 정의하는데 이 책은 바로 그 후기 구석기 시대로 떠나는 여행 안내서로 유익했습니다.

인류 문명이 야만 상태에 가까운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로 넘어오면서 농업혁명이 일어나 인류가 정착 생활을 시작하고 이후 금속 문명을 토대로 국가가 등장해 현재로 이어지고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과학이 아닌 고고학이라는 창을 통해 인류 공통의 토대는 빙하시대인 후기 구석기시대 수렵채집민이 만들었다”고 말합니다. 성 교수는 신석기혁명의 거의 모든 요소라고 할 수 있는 토기, 간석기, 정주, 식물 재배 모두 빙하기 끝자락 수렵채집민으로부터 시작됐다고 주장하고 이때야말로 동굴벽화와 비너스상으로 대표되는 예술과 상징, 현대 사회 존속의 근간인 공유, 협력, 평등 지향 등 오늘날 인류라고 정의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의 초석이 놓인 시기였고 진정한 글로벌 역사의 출발점이라는 것입니다.
현생 인류의 성공적인 진화는 공유와 협력, 평등 지향성 덕분이라고 합니다. 현생 인류의 전 지구적 확산을 가능하게 한 요인을 크게 4가지로 꼽았다는 점이 책에서 흥미로웠습니다. 생물학적 진화, 문화적 진화, 수명 연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네트워크입니다. 수렵채집민 중에는 서로 아무런 관계가 없는 사람들과도 무리를 구성하고 혼인 관계를 맺기도 했는데 이런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건강했다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사회네트워크 형성 행동은 진화론에서 이야기하는 안정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일반적 양상으로 정착하면서 지구 생태계에서 인류가 지배종이 될 수 있게 했다고 합니다.
현생 인류의 기원을 찾아서 떠나는 여행은 호모 사피엔스가 단일 생물종으로 가장 성공적인 진화의 역사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불평등보다는 공유와 협력, 평등 지향을 추구한 습속과 사회적 기제 덕분”이라는 점에서 지금 우리가 지향해야 할 점과 같습니다. 고고학 자료를 통해 문화, 사회적 조직, 이념, 인류 시대 이전의 생명의 역사 연구등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하며 상상해 보기에 좋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