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세계사,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
이희철 지음 / 리수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중간세계인가

왜 중간세계를 읽는가

 

중간세계는 1000년의 비잔티움제국, 600년의 오스만제국, 그리고 두 제국 사이 600년에 걸친 이슬람제국의 역사와 문화가 펼쳐졌던 곳입니다. 그러나 동양도 서양도 아니고 동양이면서 서양 같은, 서양이면서 동양 같은 중간 세계인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은 오랜 세월 유럽사 중심의 세계사의 그늘에 가려 주목받지 못했고 잘 알지 못했습니다.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의 역사를 튀르키예 역사 전문가로부터 중간세계에서 알아보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지리적으로는 인더스강에서 이스탄불까지, 문화 .지역적으로는 지중해권 세계와 중국 세계 사이를 말합니다. 이 책은 세상을 움직이는 힘과 문화적 역량은 있었으나 세계사의 중심축으로부터 관심받지 못하고 고립되어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중간세계를 비잔티움제국과 오스만제국을 통해 재조명한다. 충돌과 대립의 역사 속에서 철저하게 이질적일 것 같은 기독교와 이슬람 제국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자신들만의 독특한 가치를 축적하고 발전시켜왔음을 보여줍니다.

 

중간세계의 고대는 그리고.로마 강역이었을 뿐만 아니라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의 시대였고 중세는 비잔티움의 기독료 시대였으며 근대는 오스만제국의 이슬람 시대였다.”

 

비잔티움은 기원전 657년경 고대 그리스의 도시 이름이었고 그리스 로마 페르시아, 이슬람 문화 둥접하면서 동서양의 혼합된 문명을 후세에 남겼습니다. 오스만제국은 1299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아주 가까운 비잔티움의 변방 아나톨리아반도 서부에서 작은 토호국으로 출판해 1453뇬 술탄 메흐메드2세가 콘스탄티노플을 저복한 후 콘스탄티노플은 오스만 제국의 수도가 되었습니다. 기독교 국가인 비잔티움과 이슬람 국가인 오스마제국은 서로 다르게 보이지만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두 제국 모두 세계사라는 주무대에서 제대로 평가 받지 못했다는 것, 두 곳 모두 같은 장소를 수도로 했다는 점입니다. 비잔티움의 수도는 콘스탄티노플, 오스만제국의 이름만 바뀐 이스탄불입니다. 그리고 정치와 행정 제도면에서도 엄청난 유사성이 있고 종교와 문화면에서도 공통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책은 비잔티움,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 사이, 오스만제국 등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고 역사, 건축, 예술에 관한 내용도 다뤘습니다.

 

 

오스만제국의 최고 통지자 술탄의 이야기와 황실의 남자 승계자를 죽이는 일종의 형제살해의 이야기가 놀라웠습니다.세계사의 그늘에 있던 중간세계사를 읽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지만, 이를 통해 세계사를 더욱 견고하게 파악하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중간세계사,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은 너무 방대하게만 느껴졌던 세계사의 맥을 짚어 이해하고 즐기고 싶은 이에게 실마리가 되며 흥미로운 내용이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출판사 제공 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