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불평등 - 왜 재난은 가난한 이들에게만 가혹할까
존 C. 머터 지음, 장상미 옮김 / 동녘 / 201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재난불평등 #동녘 #동동이1기 #존C머터 #장상미 #파인만경계 #사회양극화 #사회정치 #사회비평 #불평등문제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책추천 #서평단

자연재해는 말 그대로 ‘자연’에 의한 재해일까? 저명한 자연과학자 존 머터는 얼핏 ‘자연스러워’보이는 이 질문에 우리의 예상과는 전혀 다른 답을 내 놓았습니다. “전혀 그렇지 않다.” 모든 자연재해는 사회적 현상으로만 이해해야 할까요? 동동이 마지막 책으로 받은 <재난 불평등>입니다.

몇 명의 사상자가 발생해야 재난으로 인정한다는 기준은 없다고 합니다. 각자가 느끼는 재난의 크기는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번 코로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고 어떤 사람은 사업을 접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일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생활이 불편하고 심리적으로 불안하여 펜더믹을 겪고 있습니다. 인생이 원래 공평하지 않지만 ‘위기’에는 더욱 사회적 양극화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2020년 봄을 우리는 보내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실업대란을 막기위해 일자리55만개를 창출한다는 발표가 있었지만 국가가 어느 정도를 역할을 할지 궁금해지네요. 그리고 중요한 것은 개인도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해야 할 일 있고 그래야만 그 어떤 더 큰 재난이 와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자연과학자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경계에서 이야기하는 책은 처음이라고 합니다. 자연재해를 자연과학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회적측면도 같이 이야기해야 맞다는 결론입니다. 이것은 ‘파인만 경계(Feynman line)하고 합니다. 코로나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나라의 의료체계와 국민들의 협조를 세계에서 놀라워 했습니다. 재난을 어떻게 발 빠르게 대처하고 관리하느냐에 따라 소중한 국민의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책에서는 부자가 재난으로부터 승리하는 내용을 이야기 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앞으로도 이보다 더 큰 대격변을 맞을 것이고 계급 및 인종 사이의 격차를 줄이기는 커녕 도리어 늘려 놓는다면 분열된 사회는 압박을 받으면 폭할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재난은 끝이 아닌 시작인 것입니다.

 

 

‘부자가 이기고, 가난한 사람이 진다.’ 불평등이 극심한 세상에서는 자연재해의 결과 또한 불공평할 것임을 확실히 짐작할 수 있다. 재난은 어떤 면에서는 부유하든 가난하든 모든 사람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지만, 각 집단에 끼치는 영향이 매우 다르고, 각 집단이 대응할 방법도 엄청나게 다르기 때문에, 각자를 다른 방향으로 끌고 가게 되는 계기가 된다. 각 집단이 재난을 활용하는 방법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르다. 부자는 이용하고, 가난한 사람은 못한다. 부자는 재난으로부터 멀리 피할 수 있지만 가난한 사람은 빈곤의 덫에 갇히거나 덫 안쪽으로 더욱 깊숙이 미끄러져 들어간다. ---P2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