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동이네 김장 잔치 ㅣ 지식 다다익선 43
유타루 글, 임광희 그림 / 비룡소 / 2011년 11월
요즘 한창 김장철이라 주부들의 손길도 분주해지는 시기인데, 아마도 일년 연중행사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날이 바로 김장하는 날이 아닐까 한다.
우리집의 경우, 아이 할아버지 댁이 가까워서 작은집, 고모네집 모두 모여서 김장을 하는데, 그 양이 어마어마하다.
그래도 어머님이 한해 농사로 잘 지어서 보관해 놓으신 마늘이랑 고추랑, 생강에 잘 자란 무와 배추를 밭에서 바로 수확해서 잘라서 절이고 씻고 다듬어서 속에 들어갈 양념을 하시기 때문에 매년 정성이 들어간 김장 김치를 만들어 먹을 수 있어서 늘 감사한 마음이다.
물론, 하나하나 씻고 다듬고 절이고 또 씻어서 김장김치를 만들기까지의 과정이 무척 힘들긴 하지만, 가족 모두가 모여서 하기에 힘들어도 힘이 나는 그런 행사가 또 김장이 아닐까 한다.
그런 김장김치를 우리 아이도 올해는 유치원에서 하게 되었다. 아이 손으로 파도 다듬고, 절여 놓은 김장 김치에 속을 넣었다고 자그마한 김장김치를 한쪽씩을 싸가지고 왔다. 그런데, 김장김치만 가지고 온 게 아니라, 엄마가 김장하느라 얼마나 힘들었는지 배웠다며, 어깨며 허리를 주물러주기까지 해서 어찌나 감동이었던지.
그런 김장 김치의 담겨진 참맛과 우리의 김치 문화를 잘 알려주는 그림책 <금동이네 김장 잔치>를 함께 읽어 보았는데, 우리 아이가 우리집 풍경이랑 비슷하다며 어찌나 즐거워했는지 모른다.
금동이네는 시골 할아버지 댁으로 가서 김장을 같이 담그는데, 우리도 할아버지 댁에 가서 담갔다며 금동이네랑 같다고 어찌나 즐거워하던지.
금동이는 처음에는 김장 담그기에 심통이 나서 배춧잎을 냅다 뜯기도 하고, 무에 묻은 흙을 무의식적으로 털었는데, 엄마의 칭찬에 신이나서 본격적으로 김장을 거들게 된다.
책 속에는 이렇게 금동이를 통해서 김장하는 단계를 알아가게 하고, 또 좋은 배추와 무를 고르는 법, 배추 절이기, 젓갈, 배추 씻기 등등 김장이 되어가는 과정을 통해서 김장 담그기의 비법도 살펴볼 수 있고, 뒷편에는 우리 김치의 우수성과 김치의 역사도 살펴볼 수 있고, 지역별로 다른 김장 김치와 김치에 숨어 있는 과학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는 유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책 속에서처럼, 정말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김치 문화를 아이들에게 접하게 함으로써 우리 고유의 문화가 얼마나 우수한지 깨닫게 해주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김장 김치를 통해서 가족의 정을 나누는 그런 훈훈한 모습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이 책을 다 읽고, 김장김치에 대해서 좀 더 알게 된 우리 아이는 내년에는 꼭 김장김치를 만들때 자기도 거들겠다고 했다. 요즘은 김장김치가 귀찮다며 사먹는 가족들도 늘었지만, 이 책을 함께 읽고 아이들에게 우리 문화의 좋은 유산을 물려주는 하나의 일환으로 김장 담그기를 아이들과 함께 해보면 어떨까 권하고 싶다.
<책 속 이미지의 저작권은 원작자와 해당 출판사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