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둑 신부 1 ㅣ 민음사 모던 클래식 44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이은선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구판절판

TV 드라마를 보면 주인공을 괴롭히거나 삼각관계에서 심한 갈등을 느끼게 하거나 못된 짓만 골라서 하는 악녀, 그러나 결코 미워할 수 없으면서도 아름다운 팜므파탈의 신비를 지닌 악녀들이 자주 등장한다. 사실, 드라마의 극적 요소를 살리고 갈등 구조를 심화하기 위해서도 많이 등장하는 악녀. 그러나 그 악녀는 결코 주인공보다 미모에서나 패션에서나 뒤지지 않으며, 오히려 어딘가 모르게 매력적인 요소까지 지니기도 한다.
그런데 대개의 경우 이런 파격적인 팜므파탈은 어디까지나 주인공은 될수 없으며, 주인공을 더욱 가련하거나 착한 인물로 만드는 요소의 인물로 작용하거나 후에 생각의 변화를 일으켜 선한 사람으로 거듭나거나 아니면 권선징악적 결말로 인해 파멸하기도 하고 벌을 받기도 한다.
사실 그런 부분 뻔한 결말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보게되는게 또 드라마의 매력이기도 하지만 가끔 너무 히스테릭하고 섬뜩할 정도의 악녀를 만나면 소름과 거부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 책 <도둑 신부>에서의 지니아는 팜프파탈적인 요소를 다분히 갖추면서도 오히려 주인공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서서히 그녀의 정체가 드러나는순간 복잡한 심경이 된다. 그녀를 둘러싼 세 여자-똑똑하고 냉철한 역사학자인 토니, 당당하면서도 세상물정에 밝은 사업가인 로즈, 텃밭 가꾸기를 취미삼아서 하면서 또 점술을 즐기는 몽상가 캐리스-를 마구 휘두르며 또한 그녀들의 남자들마저 서슴없이 빼앗기도 한다. 세상에 이런 악녀가 또 어디있을까.
지니아라는 인물이 지니는 사악한 모습은 초반부에서부터 서서히 이야기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안개에 쌓인 듯 베일이 걷히면서 서서히 드러난다.
초반부에서는 지나아라는 여인의 장례식이 등장하고 그녀가 죽은 뒤 그녀를 회상하며 각각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초반부에서는 사실 뭐가뭔지 금방 이해하기에는 좀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하지만 서서히 한장 한장 넘길때마다 베일에 갖혔던 세 여자들과 지니아와의 관계가 서서히 드러나면서 한사람 한사람이 걸어온 길, 그녀들의 가족과 지니아와 얽히게 된 과정, 그리고 그녀들이 그녀들의 남자들을 지니아에게 빼앗기는 과정 등이 서서히 드러나 지니아라는 여자에 대해 경악하게 된다.
1편에서는 지니아가 죽은 후 한달에 한번 점심을 하던 세 여자 앞에 죽은지 4년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다시 나타난 지니아를 보고 세 여자는 다시 혼란에 빠지게 되며, 각자의 시점에서 지니아를 만나게 되었던 계기와 그녀와 그녀들의 남자에 일어났던 이야기들을 서서히 과거로 돌아가며 이야기한다.
1편에서는 토니와 캐리스의 이야기로 끝나고, 2편에서는 로즈의 이야기로 이어지며, 서서히 그녀들 앞에 다시 나타난 지니아의 정체가 밝혀지는데......
전체적은 구성이 지금까지 읽어보았던 소설들과는 차별화된 느낌이 들었다. 엄청난 볼륨으로 1권과 2권의 책 표지수도 차이가 좀 나지만, 아마도 의도적으로 1편과 2편을 나누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여성작가라서 그런가 여성의 심리를 잘 풀어낸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1,2권 모두 읽는데 시간은 좀 걸렸지만, 꽤 읽은 보람이 느껴지는 소설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