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집이 살아났어요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11
박수현 글, 윤정주 그림 / 책읽는곰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적 큰댁에 가는 길은 구불구불 비포장 도로에 산길을 따라 울퉁불퉁 난 길을 달리는 버스를 타고 갔던 기억이 어른이 되어도 참 기억에 남는 일인 것 같다. 특히 툇마루가 높아 댓돌에 신을 벗고 들어가서 문풍지를 바른 문을 열고 문지방을 밟지 않도록 조심조심 들어갔던 일, 부엌의 아궁이에서는 가마솥이 걸려 있어서 쇠죽도 쑤고 밥도 하고 구수한 누룽지를 얻어먹는 재미도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시골도 이젠 옛말. 우리 어릴적 모습을 한 집들은 하나 둘씩 사라지고 그나마 남은 한옥들도 생활의 편리를 따라서 내부가 개조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이 그림책이 우리 어릴적의 시골정취도 물씬 느낄수 있게 해주고 아이들에게는 색다른 공간처럼 여겨질 지 모르겠으나, 그 속에서 살아왔던 조상들의 지혜와 더불어 살아왔던 공간을 한번 살펴볼 수 있어서 참 좋은 것 같다.

또한, 그 안에 담겨 있던 설화와 같은 이야기들도 살짝 으스스하지만 집안을 지키는 수호신을 재미있게 풀어낸 구성이 독특한 전개 구성이다.

 



 

시골집으로 이사 온 강이, 산이, 들이 세쌍둥이 개구쟁이 형제들은 시골집을 아주 즐거운 놀이터로 여기며 여기저기 뛰어다니고 탐험을 시작하는데, 넓은 집에서 숨바꼭질을 하기로 한 세 녀석들에게 어떤 할머니가 한분 나타난다. 할머니를 술래로 서로 숨을 곳을 찾아다니며 뛰어다니던 모습을 지켜보는데 할머니의 정체는 바로......

 

그림책 본문이 시작하기 전 표지 뒷부분에는 집 전체 모습과 강이,산이,들이의 모습이 담긴 그림이 나와 있다. 앞뒤로 같은 그림이지만 어딘가 모르게 다른 느낌인데 그런 부분을 찾아보기에도 참 재미있고, 책 속 세 쌍둥이와 즐거운 시골집 탐험을 할 수 있는 구성이 재치있는 그림책인 것 같다. 책 뒷부분에는 <우리집 지킴이를 소개합니다>라는 제목으로 책 속에 등장했던, 삼신, 성주, 촉신, 조왕, 수문장, 철융....등등의 수호신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우리의 조상들이 집과 마을 곳곳에 신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던 그 부분을 이 책속에서 소개하고 있어서 참 색달랐다. 특히 변소에서 나온 귀신이란 아이들에게 공포를 심어주기보다 살짝 놀래키는 위트와 함께 웃음이 터지게 만드는 것 같다. 책을 읽고 난 후에는 시골집 모습을 따라 그려보았다.



 

열심히 따라 그리고 있는데 생각대로 잘 안되었지만 강이, 산이, 들이의 모습까지 넣어서 그려보았다.



좀 엉성한 그림이긴 하지만, 그리면서 집 안의 우물이랑 장독대, 변소 등의 위치도 확인해보며 이야기를 되짚어가면서 그리는 시간이어서 독후활동으로 참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다.

 

여름 해질 무렵에 평상 위에 앉아서 옥수수나 감자를 먹으며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옛이야기를 듣는 상상을 하며 아이와 함께 재미있게 읽어본 그림책이다. 아이들과 재미있게 읽고 시골집 체험을 해보면 참 좋을 것 같다. 민속촌도 좋고, 수몰지역을 기념해서 만들어놓은 옛집의 형태나 고택 등에서도 우리의 옛 전통 가옥의 형태를 그대로 보전해놓은 곳이 많으니 가까운 곳에서 찾아보고 방문해보면 참 좋을 것 같다.

 

<책 속 이미지의 저작권은 해당출판사에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