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휴양지
로베르토 이노센티 그림, 존 패트릭 루이스 글, 안인희 옮김 / 비룡소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붕뚫고 하이킥(줄여서 지붕킥)의 인기가 절정에 달했던 지난달까지, 매일매일은 아니었지만 즐겨서 시청했던 시트콤이었다. 중간 부분은 좀 빼먹었지만, 뒷 부분과 결말은 다 지켜본터라, 마지막 결말이 왜 그렇게 되어야했나 의아하기만 했다. 그래서 더욱 긴 여운을 안겨준 드라마가 아니었나 싶기도 하고 말이다. 사실, 세경과 준혁의 러브스토리에 관심이 모아졌는데, 둘이서 나란히 볼로냐 원화 전시회에서 원화를 감상했던 부분은 사실 놓쳐버려서 아쉬웠다. 그래서 결말을 암시했다고 하는 화제의 책 <마지막 휴양지>가 궁금해졌다.

 

이 책은 표지부터 뭔가 독특했다. 표지 한면에 토막토막 잘려진 듯한 인상을 주는 그림들이 독특했고, 대부분의 그림책들이 제목과 목차 정도를 지나서 그림과 함께 시작하는데 비해 이 책은 우선 커다란 글씨로 씌여진 한페이지 분량의 글을 읽고 나서 두어장을 넘겨야 비로소 그림에 다다른다. 그런데 이번엔 그림만 있고 글이 없다.

 



 

줄거리를 살짝 소개해 보면...

여느 날과 다름없던 오후, 화가가 지루한 일상을 보내고 있을때, 화가의 상상력은 무시당하는 것이 아닌가하고 화가 난 나머지 휴가를 떠나서는 돌아오지 않기로 한다. 화가는 펜을 놓고 짐을 꾸려 빨간 자동차를 끌고 험한 길을 달려서 잃어버린 상상력을 찾아가던 길에  '마지막 휴양지'라는 외딴 호텔에 다다른다. 그 호텔에서 화가는 신비로운 소년, 외다리 선장, 병약하고 아름다운 소녀 등 어디선가 본 것 같으면서도 낯설고 평범하지 않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그들은 모두 알 수 없는 이상하고 신비로운 인물들로, 저마다 무언가를 애타게 찾고 있다. 호텔에서 만난 인물들이 무엇을 찾고 있는지 그들이 찾는 걸 찾아낸다면 자신의 잃어버린 상상력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정작 다른 손님들은 하나둘씩 자신이 찾던 걸 발견해서 호텔을 떠나가는데 화가는 답을 얻지 못하는데.... 

 

처음엔 한장 한장 그림만 보고 TV에 나왔다던 장면을 찾아보았는데, 이상하게도 이 책에서는 빨간 머플러의 여인이 등장하는 그림은 없었다. 그렇다면 화제의 결말을 암시하던 그 그림은 가짜였을까. 책을 깊이 있게 읽어내려가는 동안 그 해답은 사실 그리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그 부분에 대해서 맞는 정보인줄은 모르겠지만, 책 속에는 포함이 되어 있지 않지만 이 책을 그린 작가가 그린 또 다른 작품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야기 전개가 다소 철학적인 느낌도 들고, 역시 수준높은 느낌을 전해주는 그림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유아들과 가볍게 읽었던 그림책과는 차원이 다른, 아이들과 읽기에는 살짝 심오하고 좀 어려운듯 하지만, 그림도 마음에 들고 보다 깊이 있는 그런 느낌의 그림책이다. 이 책은 특히 글도 글이지만, 그림에 더 주목하게 된 그림책이다. 독특하면서도 섬세한 화풍에 놀라웠다. 아이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호기심을 일으키는 그런 화풍인 듯 하다.

 

사실 이 책 속에서 지붕킥의 스토리를 찾아내려고 접한건데, 그보다 깊이 있는 무언가를 얻은 느낌이다. 상상력의 부재에 놓인 한 화가의 고민, 그리고 낯선 호텔에서 만난 사람들은 사실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어떤 인물들이었는지 생각해보게 만드는 참 독특한 구성에 이끌렸다.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쉽게 이해하지 못해서 좀 헤매긴 했지만 알고나니 흥미로웠다. 한권의 책이 주는 알쏭달쏭한 느낌과 미스터리 같은 느낌이 살짝 매력적으로 다가왔다고나 할까.

고전 문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것 같고, 화가의 상상력처럼 상상하는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해주는 시간이 될 것 같다. 뒷편에는 <덧붙이는 말>을 통해 이 책에서 소개된 작품들의 소개도 나와서 이 책을 읽고 다른 작품들을 함께 찾아서 읽어보기에도 좋을 것 같다.

 

 

<책 이미지의 저작권은 해당 출판사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