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 ㅣ 푸른도서관 36
이금이 지음, 이누리 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4월
평점 :
학창시절, 우리때는 인터넷도 없었지만 글을 쓴다기보다 멋을 내며 쓴 시를 나누는 일이 종종 있기는 했다. 예쁘게 삽화도 그려넣고 해서 연습장 한권을 예쁘게 꾸몄던 기억과 친구들과 나누었던 기억 등...그때는 왕따도 없었고, 아이들 간의 마찰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해소가 되긴 했다. 그래도 사실 소외감을 많이 느끼며 힘들게 학교에 다녔던 친구들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이금이 작가님의 '첫사랑'이라는 작품이 기억에 생생한데 이번에 제목부터 뭔가 흥미를 끄는 '우리반 인터넷 소설가'로 만나게 되어 기뻤다.
지난번 첫사랑이 초등학교 고학년 동주의 이야기였다면, 이번 이야기에서는 고등학생 봄이와 반 아이들, 그리고 담임을 맡은 선생님의 이야기로 한층 그 연령대가 높아졌지만, 초등 고학년부터 읽어볼 수 있는 흥미로운 구성이라고 할수 있을 것 같다.

이야기는 담임을 맡고 있는 선생님의 시선으로 전개되는 구성이다.
새학기가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어느날 갑자기 아주 평범한 반학생 '이봄'이 무단 결석으로 학교에 나오지 않으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평소에 문제가 없어 보였던 봄이였기에 선생님은 적잖이 당황스럽다. 그런 가운데, 부모님이 해외에 계신 상태라 일탈을 꿰한 봄이의 단순가출로 여겼던 선생님은, 봄이가 곧 돌아오리라 생각했지만, 결석이 길어지자 봄이의 가출이 단순 가출이 아니라는 것을 직감하고 반 아이들이 뭔가를 알고 있으면서도 숨기고 있다고 생각한다. 봄이의 가출 나흘째, 야간 자율학습시간에 반 아이들에게 호통을 치는 등 좀 날카로워져 있다. 그러다 교무실에 누군가가 놓고 간 원고뭉치를 발견하게 되고 읽어내려가기 시작한다. 그런데 뜻밖에도 그 원고들에는 반 아이들이 쓴 듯한 아이들 자신과 봄이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차례차례 전개되는데 가감없이 써 내려간 그 글을 처음에는 반 아이 은성의 작품으로 생각했던 선생님. 그러나 읽어내려가는 동안 그게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데.....
이 책 속에서 표출하고자 하는 것이 뜻밖이어서 너무 놀라웠다.
외모 지상주의를 살아가는 요즘, TV마다 날씬한 연예인들은 물론 날씬한 몸매를 위한 다이어트 상품들이 쏟아지고 뚱뚱한 몸을 지니면 마치 죄라도 되는 양 다루어지는 것을 자주 접하다보니 아이들 스스로도 외모에 대한 편견과 그에 따른 집단 따돌림도 있을 수 있겠지만, 이 책은 그러한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기보다, 봄이를 통해서 다른 시선으로 다루고 있다. 즉, 책 표지의 봄이 같은 외모의 아이가 집안좋고 학벌좋은 멋지고 잘생긴 왕자님같은 남자친구가 있을리 없다는, 진실인데도 진실이 아니라고 부정하는 그러한 태도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준다.
진실이라고 아무리 이야기해도 진실이 묻혀버리는 외모에 대한 편견. 그런 편견에서 아이들 스스로 헤어나오지 못해 진실을 보고도 거짓으로 왜곡해버리는, 실은 진실을 믿고 싶지 않았을 그러한 복잡미묘한 마음들까지 느껴볼 수 있는 그런 구성이었다.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서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가 주는 이면의 무시무시함도 함께 느껴본 것 같다.
살짝 동화같은 느낌도 들지만, 이야기속에 또 이야기가 들어있는 독특한 전개가 흡인력있는 전개로 읽는 내내 손에서 놓치 못하고 몰입하여 읽어보게 된 책이다. 아이들 속에서 서로 얽히고 섥혔던 왜곡된 우월감, 질투심, 편견, 허영심, 그리고 집단 따돌림으로 인해, 진실을 진실로 바라보지 못했던 진실 등이 담임 자신의 과거와 현재와의 인간관계와도 오버랩되면서 짙은 여운을 안겨준다.
<책 표지 이미지의 저작권은 푸른책들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