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올케가 친정 어머니가 변비가 심하다고 해서 병원엘 모시고 갔다고 한다. 그런데, 병원에서는 대장암 말기라며 더이상 손을 쓸 수가 없다고 했다고 한다. 딸만 셋 낳아서 남편도 일찍 가고 혼자서 고생고생하다가 이제 좀 여행도 다니고 살만 하니, 청천벽력과도 같은 이야기라며 오열하는 올케를 보고 가슴이 많이 아팠다.

늘 같이 있고, 늘 옆에 있어줄것만 같던 엄마가 어쩌면 얼마 남지 않은 시간 속에서 언제 곁을 떠나갈지 모르기 때문에 더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것이리라.

 

신경숙님의 소설을 처음으로 접한 건 아마도 친구가 선물로 보내주었던 ’깊은 슬픔’이라는 책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그 당시 나는 타국에서 홀로 생활을 하던 때여서 그런지 그 책이 참 마음시리게 다가왔었다. 그 뒤로도 몇작품 더 만나봤지만, 이번 <엄마를 부탁해>는 조금도 책을 손에서 놓고 싶지 않을 정도로 몰입되었던 책이다.

 

제 1장에는 <너>라고 하는 2인칭 서술로 되어 있어서 특이함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내고 있었다.

 

읽는내내 마음이 참 갑갑하고 아렸다. 어째서 엄마를 잃어버렸을까, 전단지를 들고 엄마를 찾으러 나선 가족들이 들었던 말을 나도 책을 읽으며 하고 있었다. 바보같이 엄마를 잃어버리다니 하면서 말이다.
 
 

책의 서술 형식이 <너>로 시작하는 제1장에서는 글을 쓰는 큰딸에게 촛점이 맞춰져 있었고, 시점이 <그>로 시작하는 제2장에서는 큰 아들 형철에게 촛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3장에서는 <당신>이라고 부르는 남편의 시선에서로 이어지며 이야기가 이어진다.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 로 시작하는 이 책의 처음 부분에는, 엄마를 잃어버리고 나서 처음으로 엄마의 생년월일이 호적상 생년월일이 다른것 하며, ’박소녀’라는 엄마의 이름을 생소해하며, 엄마와 함께 찍은 제일 최근 사진을 더듬어가며 찾으려고 애쓰는 가족들의 모습이 답답했다.

 

부모님의 생신때마다 시골에 내려가서 치르다, 아버지 어머니 생신을 몰아서 자식들의 편의대로 상경을 하여 음식점에서 간단하게 치를 예정이었고, 그나마 각각의 사정과 편의에 따라 참석하지 못한  큰딸은 엄마를 잃어버린지 사흘이나 지나서 그 소식을 접했으며, 지하철 역에서 그만 손을 놓쳐버린 엄마는 가족들이 전단지를 돌리며 애타게 찾아도 어디에도 없었다...

 

아, 읽으면서 어찌나 자꾸 오버랩되는 우리 시어머니의 얼굴이 생각나던지, 참으로 이유를 모를 일이었다.

자식들과 남편을 위하여 몸도 사리지 않고 숱한 고생만 하다가 길을 잃어버린 그 어머니는, 부자집에서 고생을 모르고 자라, 시동생이 일곱이나 있는 집으로 시집와서 숱하게 고생만 하다가 허리가 굽은 나의 시어머니를 연상케 했다. 게다가 책 속의 시어머니를 대신하던 고모는, 가끔 어머님이 이야기하시던 아이아빠 고모할머니와도 상황이 비슷해서 더 진하게 몰입하게 되었다. 책을 읽으며 눈물을 흘리는 나에게 남편이 뭐 책을 보며 다 우냐고 뭐라고 했다. 

 "당신도 이 책 읽어봐, 읽어보는 내내 나는 우리 친정엄마보다도 당신 어머니가 더 생각나서 참 슬프더라" 라고 한마디 했다. 

 

<엄마를 부탁해>는 우리 모두에게 당부하는 말이다. 딸인 <너>, 아들인 <너>에게, 그리고 <나>에게 당부하는 말이다.

참 답답한 마음으로 한 어머니의 인생을 돌아보면서, 바빠서 자주 전화도 못하면서 오는 전화에 성가셔하거나, 시골에서 올라오신다고 하면 신경부터 쓰이는 그런 이기적인 내가 아니었나 뒤돌아보게 되었다. 친정 부모건 시부모건 모두 부모이기는 마찬가지인데, 가까이에 살면서도 소홀히 했던 나에게 이 책은 참으로 정신이 번쩍 들게 했다.

부모님이 옆에 계셔서 다행이다. 가까이에 계심을 감사하며, 부모님 말씀에 귀기울이는 내가 되어야겠다.

’엄마’를 부탁하는 일이 없기를 간절히 바라며, 세상의 모든 자식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