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의 춤추는 생각학교 6~10>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생각이 뛰어노는 한자 이어령의 춤추는 생각학교 6
이어령 지음, 박재현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때는 한문으로 중학교때부터 배웠던 한자. 이제 초등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한자 교재도 나오고 이른 연령부터 한자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도 있어서 한편으로는 반가운 느낌이다. 한자가 간간히 나오긴 했지만 교과서 속에서 괄호 안에 들어있던 한자라도 내가 일본어를 배우기 시작할때는 참으로 유용했다. 한때 '한자병용세대'와 '한글 세대'라는 용어가 생길 정도로 교육정책이 바뀔때마다 교과서 속에서 한자어를 볼 수 있었던 세대와 그렇지 못한 세대로 나뉠때도 있었다. 하지만 한자를 병용해서 쓰자고 하는 쪽의 주장대로 우리나라 언어의 70% 정도가 한자어이기 때문에 그 뜻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한자를 조금이라도 더 익힐 수 있는 것이 우리의 언어를 잘 이해하는 길이라는 의견에 동의한다.

한자를 잘 안 배운 나보다 어린 후배들이 한자때문에 무척 고생하는걸 보고 한자가 특히 한자문화권에 있는 다른 언어를 습득할때 보다 빠르게 이해하고 일본어나 중국어를 배울때 참 도움이 많이 된다는 사실을 경험을 통해서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국가 경쟁력을 키우는데도 역시 한자를 많이 아는것이 중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렇기에 이런 책이 참 유익한 것 같다. 이어령 박사님이 펴내신 <생각이 뛰어노는 한자>는 한자가 생겨난 유래를 시작으로 한자의 구성원리에 대해서 아주 재미있게 이야기를 전개한 책이다.

우선 그 구성이 참 알차고 독특한 느낌이 든다. 처음에는 한자의 생겨난 원리에 대해서 소개를 하는데, 신화에 따르면 창힐이라는 사람이 한자를 처음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한자의 기초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보여주는 실마리인 은나라때 갑골문자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가 초반부부터 흥미진진했다. 그  이유가 왕희영이라는 사람이 하루걸이라는 병에 걸려서 효험이 있다고 하는 용뼈를 모으기 시작했고 거기에서 뼈에 새겨진 갑골문자를 발견하게 된다고 하니 참으로 흥미로운 이야기가 아닐 수 없었다.

 

그리고 한자가 하나 둘 모여 하나 둘 셋이 된 숫자에 얽힌 한자의 유래부터, 비, 구름 등의 우주를 품은 한자, 물과 불, 풀과 나무 등의 자연과 생명의 노래 등 각 주제에 맞게 한자를 제일 처음 배우는 순서대로 차례차례 한자의 원리와 함께 이야기처럼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한자를 익힐 수 있는 구성으로 풀이해놓은 구성이 참 독특하고 재미있다. 역시 오랜동안 문단에 계셨던 전문가 선생님이 쓴 책이어서 그런지 내용도 알차고 글도 이해하기 쉽게 맛깔스럽게 펼쳐 놓으신 느낌이다.

 

사실 한자를 꼭 배워야한다고 주장하는 1인이지만 내 아이에게 한자를 가르칠 마음엔 좀 부담이 되었는데, 이 책은 한자의 생김새를 통한 원리부터 깨우쳐주니 한자라면 머리부터 아파했던 것은 과거의 일이 된 듯 하다. 이젠 이 책을 통해서 한자를 좀 더 가까이에 두고 활용할 수 있어서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담스러운 한자가 아니라 즐거운, 그리고 이 책 제목처럼 아이들에게 '생각이 뛰어노는 한자'로 기억하게 되기를 기대해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