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나에겐, 로맨틱 - 나를 찾아 떠나는 300일간의 인디아 표류기
하정아 지음 / 라이카미(부즈펌)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20대에는 잘 몰랐는데 30대가 되고 보니 시사 프로가 더 눈에 들어오고, 아시아나 다른 나라의 사람들의 삶을 다룬 방송이나 책들이 눈에 띈다. 이 책은 책 표지에 끌려서 꼭 보고 싶었던 책이다. 이마에 핏자국 같이 보이는 한 소녀가 꼭 손으로 빌고 있는 것 같은 사진이 인상적이어서일까, 이 소녀의 정체가 뭘까 무척 궁금해서 책을 펼쳐 들었다.
 
앗, 그런데 읽다보니 많이 낯익은 투의 문체가 낯선 느낌이 들지 않았는데, 알고보니 '20인 호주'를 쓴 그 작가 '하정아'씨의 작품이란다.
책을 읽어갈때는 몰랐는데 후반부에 이르니 그녀의 책 이야기가 나오는게 아닌가. 정말 놀랍고 반갑고 아~ 그래서 이런 느낌으로 글을 적었구나 하는 마음이 들어서 더 반가웠다. 그녀의 '20인 호주'에서는 함께 워킹 홀리데이 하면서 만난 사람들을 인터뷰하는 형식의 즐거운 글 형식이었다면, 이 책은 그런 느낌의 발랄한 그녀에 좀 더 감성적이고 성숙해진 여인의 내음이 나는 글이 더해져있는 느낌이다. 그녀의 자라온 삶, 가족, 그리고 사랑까지 그녀의 즐거웠던 기억 뿐 아니라 아픈 기억까지 책 속 인도에서의 300일간의 여정을 통해 그곳에서 보고 느낀 것들과 함께 내려놓은 그런 느낌이라고 할까.  하지만, 곳곳에서는 그녀의 발랄함과 정말 인도 현지인보다도 더 인디아에 익숙해진 그녀의 여정이 가득한 포토 에세이집 같은 느낌도 나고 현지인들의 모습과 삶이 담긴 사진과 그녀의 모습이 담긴 사진도 곳곳에서 관찰할 수 있어서 더욱 즐거운 구성이었다.  


 
'인도'하면 떠오르는 낙후된 모습과 굶주리고 헐벗었을 것 같은 사람들, 길거리에 파는 위생관념이 없는 비 위생적일 것 같은 먹거리들조차 그녀의 이 책에서는 정겹게 느껴졌다. 무엇보다 그녀가 그 속에서 거부감없이 받아들이고 몸을 사리지 않고 체험하고 경험해본 이야기들을 토대로 했기에 더 진솔했고, 더 즐거운 책이 되지 않았을런지.
사실 여행서 하면 제일 궁금한게 무얼 먹고 어디서 잠을 잤을까가 참 중요한 관심사인데, 그녀는 값싼 곳을 찾아 게스트하우스에서 보내는 시간도 많고 저렴한 곳이라서 이상한 벌레가 나오기도 하고 바퀴벌레가 등장하기도 한다. 또 하룻밤 묵고가라고 하면 마다않고 침대 하나가 집의 1/3을 차지한다는 집에서도 머물며, 먹을것이라고는 설탕이 듬뿍 들어간 짜이랑 배탈이 나서 호되게 고생했다는 길거리에서 잘라서 파는 쥬스랑 과일 이야기에 인도에 가면 이런거 먹고 싶다!가 아니라 이런거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한게 더 많았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녀의 책 속에는 그 속에서 살아가는 뜨거운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었다. 유명한 여행지나 타지마할은 등장하지도 않는 그런 인도 여행이며, 서민들의 삶과 생활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편한 호텔에 투어로 하는 여행도 힘들터인데 표를 끊는 일부터 묵을 곳을 찾는 일까지 모두 손수해나가는 여행을 여자 혼자의 몸으로 하기 참 힘들었을텐데 그녀는 해냈고 이렇게 책으로 담아냈다니 정말 놀라웠다.
그렇게 고생고생하던 인도를 떠나 네팔에 가서 조금 더 나은 거리의 모습과 없는게 없는 풍족한 모습을 보았을 때 오히려 그런 편안함이 재미없어졌다고 했을 정도니 그녀는 진정한 여행꾼이다. 아니 로맨티스트인지도 모르겠다. 그 느낌을 책으로 느껴볼 수 있어서 참 행복하기까지 했다. 그리고 재치있고 활달한 그녀의 말 솜씨는 만화책을 볼때의 키득거림과 진지함이 겹쳐져서 읽는내내 즐겁고 또 따스했으며 뜨거웠다. 마치 인도의 숨막히는 더위와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숨결이  지금 느껴지고 있는 것처럼.
 
결국 책 표지 소녀의 사진은 본문에서 찾아볼 수 없었지만, 이 책은 분명 표지랑 내용이랑 살짝 다른 느낌이 드는 건 사실이다.  심각하게 들여다보면 또 아닌 것 같다가도, 더 깊이 들여다보면 심오한, 그렇지만 인도를 제대로 여행한 듯한 느낌이 나는 그런 책이랄까. 

 

<책 이미지의 저작권은 부즈펌에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