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팽 - 파랑새 클래식 3
잭 런던 지음, 이원주 옮김, 에드 영 그림 / 파랑새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두꺼운 표지에 날카로운 눈과 이빨로 으르렁거리는 화이트 팽의 모습이 인상적인 그림책이다.

 화이트 팽이란 늑대의 이름이다. 바로 이 책의 주인공 잿빛 늑대로 태어나 사람들에게 길들여진 늑대.

그래서 이름까지 붙은 ’하얀 엄니’라는 뜻의 ’화이트 팽’이 되어 우리들에게 찾아왔다.

 

처음에는 책의 볼륨감 때문에 그런지 읽기가 자꾸 망설여졌다. 청소년 문학이라 읽기에 어려울것도 없는데 아마도 책의 두께에 더 눈길이 가서 그런가보다. 하지만, 처음 시작만 어려웠지 읽기 시작하니 손에서 놓지 못하겠어서 그 자리에서 끝까지 읽어버렸다. 그만큼 흡인력이 강한 소설이었다.

하지만, 날카로운 이빨을 지닌 늑대들의 이야기를 TV 영화나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몇번 본 적이 있어서 그 날카로움에 무서운 생각이 들었다. 특히 초반부에 썰매를 끌고가는 두 사람과 개들 사이에 벌어지는 섬뜩한 이야기에 무척 무서운 생각이 들어 몇번이나 책을 덮을까도 고민했다. 이 책을 집어서 읽기 시작한 시간이 가족들이 모두 잠든 시간이어서 더 그랬나보다. 마치 책 속의 늑대가 튀어나올 것만 같은 현장감이 느껴졌다.

 

인간에게 길들여진 어미 늑대에게서 태어난 야생 늑대는 이름이 있기 전까지는 그저 잿빛 늑대였고 세상에 태어나서 엄마가 주는 먹이를 받아먹던 연약한 늑대였다. 하지만, 엄마가 사냥을 나가서 돌아오지 않게 되자 동굴밖으로 나가게 되고 처음으로 사냥을 통해서 작은 동물들의 따뜻한 피를 맛보게 되어 점차 거친 야생 늑대로 성장하게 된다. 야생에서 먹이를 찾아서 사냥을 하던 늑대였지만, 기근이 오고 인디언들을 만나게 되면서 인간들에 의해 길들여지려고 한다. 그렇게 만난 인디언 그레이비버에 의해서  ’화이트 팽’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고 길들여진다. 그레이비버는 인디언으로서 동물을 다스릴줄 알고 현명한 사람이었다. 화이트 팽은 처음에는 반항하지만 점점 그레이비버에게 길들여져간다. 하지만, 그레이비버는 문명국에서 온 백인 뷰티 스미스에게 위스키랑 화이트 팽을 맞바꾸게 되는데......

 

팽의 생애를 책을 통해서 만나보며 야생동물도 교감을 나눌 수 있는 동물임을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물론, 야생의 상태에서 만날 일은 없을테지만, 개들과 다른 늑대의 야성미는 책의 전반부에서 섬뜩할 정도로 극도의 긴장감을 연출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화이트 팽을 만나기까지, 늑대들과 함께 하는 것 같은 느낌으로 책을 읽어내려갈 수 있었다. 자연과 교감을 나눌줄 알고 현명한 인디언이었지만, 문명국의 무기앞에 아무것도 아닌 인디언의 삶, 야생동물이지만 길들여지고 난 후에 충성을 다하는 화이트 팽의 모습에서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책 뒷면에는 옮긴이의 말과 작품이해를 통해 보다 깊이있게 이 책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어 생각넓히기와 논술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 1916년 4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잭 런던의 작품 <화이트 팽>의 고전을 금 시대에서 만나볼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 고전 클래식 작품으로 소장해 두고 자녀들과 함께 읽기에도 좋은 구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