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
이재운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6년 11월
평점 :
핸드폰 창을 만지작거리면서 문자로 대화가 오가던 중, 혼란스러울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문자만으로 대화를 하다 보니 정확하게 표현하고 싶은데 상황에 맞는 알맞은 어휘가 생각이 나지 않고 공중을 빙그르르 맴돌 때도 있었고, 틀린 표기를 그대로 적은 경우도 있었다.
물론 개인적인 대화였고 상대방이 특별한 지적을 하지 않아 모른 척 넘어가기도 했지만 찝찝하고 당혹스러움은 오래 남았다.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은 우리 말 어휘를 더 바르고 정확하게 정의한 사전이다. 아울러 우리말 어휘에 생명과 힘을 부여한 성과물이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이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 말 시리즈’와 함께 우리말을 가다듬고, 키우고, 늘리고, 또렷하게 자리 잡는 데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한다.
-저자의 말 중에서-
책의 제목을 보고 두꺼운 국어사전을 떠올렸는데 책을 받아 든 순간, 작은 크기에 흠칫 놀랐다. 요즘 많이 출간되는 에세이 같은 크기라 예전에 떠올리던 사전의 느낌과는 거리가 있었다.
저자의 들어가는 말을 통해 우리말에 대한 애정이 남다름을 알 수 있었다. 내가 생각하는 우리말은 솔직히 한국인이라면 당연하게 말하고, 쓰고 보는 익숙한 언어일 뿐이었는데 저자의 글을 보면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싶었다. 아이와 세종대왕 위인전을 보다가 한글을 창제한 위대한 업적을 살펴보다 너무도 당연하게 사용하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단어를 인지하고서는 얼굴을 붉히기도 했다.
저자도 나처럼 우리말의 소중함을 망각하고 무차별적으로 사용하는 맞지 않은 어휘들을 바로잡는데 도움을 주고자 이런 책을 만들지는 않았을까 생각했다.
책은 사람, 동식물, 기상과 자연현상, 도량형, 시간과 계절, 지리와 지형, 법률과 규정 약속, 어휘, 한자어로 구분해서 설명하고 있다. 책의 내용을 빌어 보자면, 태풍과 폭풍의 차이는 어떤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나 며칠이나 계속 비가 와야 ‘장마’라고 하는지에 대해 상세히 적어두었다.
길, 로, 대로는 어떻게 다른지 혹은 조세의 조와 세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등 같은 뜻, 같은 느낌으로 사용하던 모호한 우리말이 깔끔하게 정리된 느낌이었다.
<9장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한자어>에서는 모범, 모순 같이 자주 사용하는 단어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이 덧붙여져 있었다. 책을 마주하기 전에는 단순히 일률적으로 가나다순에 맞춰 단어가 나열되고 거기에 대한 설명이 적혀져있는 일반적인 사전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어휘를 구분하는 것부터 자세히 정리되어 있는 책이었다.
우리글에 관심을 갖고 잘 사용하는 것도 애국의 길이라 여겨지는 요즘이다.
곁에 두고 오래 공부하고 되새겨야 할 책이다.
**출판사에서 해당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