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풀밭 위의 식사
전경린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조각은 날카롭기보다 푸르렀다. 박히기는 좋으나
찌르기엔 부족한 조각은 턱으로 밝기를 받치고 있었다.
여태까지 본 모든 것을 기억하겠다는 것을 살아온
것보다 본 것이 더 단단하리란 것을 믿기 때문일 것이나
유리 조각은 내가 본 모든 것을 가지고 갔다. <이병률, 찬란>
<풀밭 위의 식사>를 읽는 내내 여자주인공의 모습을 되뇌었다. 딱딱한 말투, 흐릿한 눈빛, 생기 없이 비춰지는 마음 속 투명함을 지닌 누경은 유리를 닮았다.
속이 보일 정도의 투명함과 견고함을 지닌 유리는 쉽게 녹고, 깨진다.
유리의 성질만큼 차갑게 굳어버린 사랑의 그림자를 안고 사는 누경, 그녀는 감정에 유리(遊離) 되어 있다.
누구나 사랑을 꿈꾼다. 그리고 사랑을 한다.
한눈에 반하는 불꽃같은 사랑이거나 은은한 봄빛 같은 사랑, 기억 속에서 지워지지 않는다는 첫사랑 등, 사랑의 종류는 복잡한 감정만큼이나 다양하다.
이렇듯 모든 형태의 사랑은 현실 속에 존재하는 삶의 흔적이다.
너와 나의 짧거나 긴 관계맺음이거나 스스로의 감정에 충실할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하고 삶의 진리를 알 수 있는 작지만 큰 경험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사랑에 빠지기 위해 노력하고, 사랑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아닐까.
책속 누경은 사랑을 했었다. 다소 냉정하게 말하자면, 불륜이란 말부터 떠오르는 위험한 사랑을 그녀는 했었다. 높은 하이힐의 유혹만큼 그녀의 감정은 매혹적이었지만 결국 유리병처럼 홀연히 사라졌다. 나는 누경이 사랑하는 사람을 함께 좋아해줄 수 없었다.
가정이 있고, 부모와 얽혀있는 혈연관계, 자기감정에 책임 질 수 없을 만큼의 배경을 가진 중년남성의 모습은 책을 읽는 내내 그녀에게 상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문득 그들의 이야기를 책으로 마주하면서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 자꾸만 떠올랐다.
그와 그녀가 할 수 있는 노력은 어떤 것이었을까?
보다 감정에 솔직하고 둘만의 사랑을 키워나가는 것, 아니면 서로의 관계를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
아무도 언제 끝날 것이라고, 어떻게 해야 한다고 가르쳐 주지 않는 것, 그것이 ‘사랑’이다.
단지 사람들은 사랑에 빠지면 달리 말하고, 생각하고 행동하기를 반복한다.
밝은 색이 좋아지기도 하고 표현하기를 서슴지 않는다. 그래서 사랑의 시작은 봄빛을 닮은 분홍빛이다. 하지만 그 끝이 더 빛날지 흐려질지는 사랑을 하는 자들의 몫일 뿐 누구도 그 형체를 알 수 없다.
사랑의 빈자리는 새로운 사랑만이 채울 수 있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사람으로 치유해야 하고, 사랑이 지나간 자리는 새로운 사랑이 채울 수밖에 없는 불변의 공간.
누경에게는 지나간 사랑의 흔적만 메아리처럼 떠돈다.
내가 누경과 같은 입장이라면 어땠을까?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새로운 감정에 충실할 수 있었을까?
그녀에게 다가오는 낯선 남자의 감정 따위는 무미건조한 일상과 같을 뿐이고 지난 시간의 기억 속에서 늘 갇혀있다. 그렇듯 그녀는 햇볕이 따가운 오늘도 쉽게 흔들리지 않고 항상 같은 자리에서 반복되는 일상을 살아간다.
사랑에 빠지면 모두가 행복한 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누군가는 설레어 행복하다고도 하고, 누군가는 암흑 속을 거니는 기분이라고도 한다. 누경처럼, 다가올 이별을 두려워하기도 하고 방향을 잡지 못하는 이들도 많다.
어떤 이는 소리 내어 웃게 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소리 내어 하염없이 눈물을 쏟아내기도 하는 것, 사랑.
“세상도, 삶도, 우리 마음도, 뜻대로 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심연의 외줄 위에서 안간힘을 다해 현재를 제어하려는 아둔하고 흐릿하고 가냘픈 의식의 줄타기뿐이야.”
내 삶은 내 방식대로 살면 그만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나이를 먹으면 적당히 현실과 타협하고 달콤한 연애 끝에 결혼이라는 것을 하고 새로운 나만의 울타리를 만드는 것이 살아가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스산한 사랑의 기억 앞에 유리처럼 견고해진 누경의 모습을 보면서 그것은 하나의 방법일 뿐 진리일 수는 없다고 되뇌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