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의 즐거움>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사색의 즐거움
위치우위 지음, 심규호.유소영 옮김 / 이다미디어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졸업식장에서 노교수가 제자들에게 당부한 말이 생각난다. 책을 많이 읽어라. 읽음에 끝내지 말고 많이 사색하라. 많이 걸어라. 걷다보면 사색의 시간이 많아지리니 걸으며 읽었던 책들도 곱씹어 보며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란 뜻일게다. 책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책속에 분명 길이 있고 해답이 감추어져 있다. 그것을 찾아내서 실천하는 일은 독자들의 몫이 아닐까 한다.
 
모처럼 한줄의 글을 읽으며 많은 생각을 떠올리게끔하는 책을 만났다. 오롯이 '사색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이 책의 저자는 중국에선 꽤 알려진 '우치우위'라는 작가인데 이 책으로 그를 처음 알게 되었으니 내겐 생소한 작가다. 기행문 형식으로 쓰여졌으되 여느 기행문과는 분명 다르다. 그의 거침없는 글 솜씨와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역사와 문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고 학문적 소양과 입담에 가히 감탄사가 절로 나오게 만든다. 활자가 생명을 지닌것처럼 꼬리에 꼬리를 물고 말그대로 막함없이 물흐르듯 이토록 자연스럽게 쓰여진 글을 실로 오랜만에 대면한다.
 
그의 발걸음이 닿는 곳이면 어김없이 인생의 철학 한자락이 숨겨있고 역사나 인물을 소개하고 있지만 그 넘어 그만의 솔직한 사유를 듣게된다. 사물을 바라보는 그만의 안목은  로마와 베니스, 인도의 타지마할, 파리, 사막 가운데서도 여지없이 빛을 발하고 있다. 위치우위의 인문학적인 사고와 그의 탄탄한 지식의 기반위에 상상력이 더해지면 과거의 문명이 되살아난듯 살을 더하고 빛이 달라짐을 느낄 수 있다.
 
본래 인류는 거친자연을 벗어나기위해 문명을 창조하기 시작했지만 점차 뒤바꿔 사람들은 황량하고 삭막한 곳이 되어버린 문명세계를 빠져나와 차라리 우메하고 야만적인 자연으로 돌아가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세계각국을 돌아보고 여러나라의 문화를 감상했지만 결국 어떤 인류 문명보다 오래된 역사를 지닌 자연, 네팔의 히말라야를 인류가 고군분투하며 이루어 놓은 어떠한 창조물보더 더 좋아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고 말한다. 날이 갈수록 팍팍한 세상에서 가끔은 이렇게  책과 함께 자신을 대면하고 사유의 시가을 가져보는 것도 좋으리린 생각이 든다.

“문화의 뒷받침이 없는 경제 발전은 야만이다.”
사회주의 체제이면서 다른 어떤 나라보다 자본주의가 만연한 나라, 문화혁명 이후 중국의 많은 지식인들이 유학이나 망명을 택할 때 조차 위치우위는  역사의 흔적을 찾아 중국 방방곡곡을 두루 여행하며 중국문명의 흔적과 역사, 문화를 담백하고 쉬운 그만의 문체로 담아냈다. 

이 책은 위치우위의 50여권의 저서 중에서 손수 골라 뽑은 짧은 글들로 그가 여행을 통해 얻게된 경험과 느낌, 사색의 기록으로 처음부터 읽어도 되지만 순서없이 어느장을 펴 읽어도 무관하다. 지나온 역사를 바라보며, 현재 역사의 한가운데를 살고 있는 우리는 과연 어떤 존재인가. 그의 여행과 함께하며 그가 사색에 잠길 때마다 역사속에서 길을 묻고  길에서 예술과 과거를 돌아보며 그의 생각을 갈피마다 적어 놓았다. 우정과 질투, 폐허와 문화. 인격, 예술과 심미의 세계에 관한 그의 견해와 식견을 들여다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우치우이의 글을 읽다보면 내자신의 위치를 돌아보게 되며 그의 글은 우리를 사유로 이끌고 삶의 길을 묻는 사색에 잠기게 한다. 

중국에는 학문이 깊은 학자가 꽤 있고, 문학적 재능이 있는 작가도 꽤 된다. 하지만 이 둘을 겸비한 사람은 매우 적다. 위치우위, 중국인 대부분이 그를  학문괴 문학에 뛰어난 학자로 평함에 주저하지 않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