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아빠>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나쁜 아빠 - 신화와 장벽
로스 D.파크 & 아민 A. 브롯 지음, 박형신.이진희 옮김 / 이학사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자녀에게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다정다감하며 아이와 눈을 맞추고, 대화를 자주하는 아빠, 아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주말은 아이와 보내도록 노력하는 아빠가 되기를 원하지만 그렇치 못하다고 나쁜 아빠라 단정지을 수 있을까? 나쁜 아빠가 되겠다고 마음먹고 그렇게 행동하는 아빠는 아마 없을 것이다. 아마도 거의 모든 아빠들의 마음은 사랑하는 자녀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좋은 아빠'가 되길 원하고 자녀에게 좋은 아빠 소리를 듣길 바랄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토록 좋은아빠되기를 원하는 아빠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론 '나쁜아빠'가 더 많이 존재하는 것일까?
이 책에서 그에 대한 원인을 남성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아버지가 되는 것을 가로막는 신화와 장벽 때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남성들이 좋은 아빠가 되길 원하지만, 사회에는 남성들이 아이들과 가정에 관여하는 것을 제한하는 넘을수 없는 장벽이 존재하고 있음을 이야기하며 더불어 이 장벽을 뛰어 넘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 이 책은 사회에 그 책임을 전가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사회가 만들어 놓은 장벽과 신화에 의해 죄없는 아빠들은 나쁜아빠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을까?
사회가 당신을 나쁜 아빠로 만들고 있다
이 책에서 다양한 연구결과와 통계자료를 인용하여 자녀를 돌보지 않는 아빠, 무관심한 아빠, 학대하는 아빠,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 악덕 아빠, 게으른 아빠라는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아빠가 자녀의 양육에서 배제되는 과정과 그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자녀의 양육은 이제 더이상 여성만의 의무나 특권이 아니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남녀간의 역할도 시대가 변함에 따라 달라지게 되었으며, 특히 맞벌이 가정이 늘고 한 부모 자녀들도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자녀의 양육에 관해선 성별의 구분없이 동등한 책임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사회도 변하여야만 한다. 모든 남성에게 '좋은 아빠'가 되길 요구하기 앞서 좋은 아빠가 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주고 사회분위기를 조성해 아버지가 가정에 충실하고 자녀와 보내는 시간을 늘릴 수 잇도록 가정에 되돌려 줄 것을 주장하고 있다.
적극적으로 양육에 관여한 아버지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아버지가 덜 관여한 아이들보다 언어능력이나 감성 지능 사화관여도등이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이는 아버지가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부모는 양육의 과정에서 자녀에게 각각 다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모든 연구결과들은 우리보다 앞선 서양의 예이지만 우리나라의 여건이 그닥 그들보다 더 나을 수 없기에 변화가 시급한 우리사회에서 이 책이 어머니와 아버지들이나 미래의 예비 부모들에게 좋은아빠란 무엇이며 더 좋은아빠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관해 알려주는 하나의 지침서가 될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