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저녁부터 읽기 시작한 책인데.. 프롤로그부터 좀 삐걱거린다. 노랗게 밑줄 그은, 빛에 무게가 있다는 대목, 원서에도 저렇게 빛에 무게가 있다고 표현 되어 있는지 궁금하다. 빛에 대한 책을 꽤 많이 읽었지만 빛이 무게가 있다는 말은 처음 들어본다. 빛은 질량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저 에딩턴의 개기 일식의 경우,
<완벽한 이론> 저자 : 페드루 페레이라
아인슈타인의 이론에서 도출되는 예측 하나는 먼 별에서 방출된 빛이 태양처럼 크고 무거운 천체를 가까이 스쳐지나면, 그 빛의 진로가 휘어진다는 것이다. 에딩턴은 그런 먼 별의 무리인 히아데스 성단을 연중 두 시점에 관찰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먼저 아무것도 시야를 가리지 않고 히아데스 성단 앞에 놓였을 때 다시 한번 그 별의 위치를 측정할 것이다. 이 측정은 태양의 밝은 빛이 달에 거의 다 가려지는 개기일식 중에 실시해야 할 것이다. 1919년 5월 29일이 되면, 히아데스 성단이 태양의 바로 뒤에 놓여 측정 조건이 완벽하게 갖추어질 것이다. 만일 그 별의 위치 변화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두 시점 - 태양이 앞에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측정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그 변화를 포착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위치 변화가 약 1000분의 4도, 곧 1.7초라면,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정확히 옳음이 입증 될 것이다.
중략
분석 결과는 위치 변화 1.61초에 오차 0.3초로,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1.7초와 어긋나지 않었다(p48~50)
내가 알고 있는 에딩턴의 개기일식은 이런데, 빛에 무게가 있다는 말은 어디에서 나오는 건지 알 수가 없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5678/90/cover150/k822735247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5805/41/cover150/e942537650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3916/30/cover150/8972915602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104/pimg_760031175278800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