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지능 - 미래의 속도를 따라잡는 힘
정두희 지음 / 청림출판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Q에 이어 나타난 EQ라는 단어에 이제 익숙해진듯 한데, 기술지능을 뜻하는 TQ가 새롭게 나타났다. 저자는 '기술지능'이라는 단어에 대해 단순히 기술적인 지식을 뜻하는게 아니라 새로운 기술의 본질을 간파하고, 변화속세어 생존력과 경쟁력을 갖추는 방법을 터득하며, 시장을 주도하는 생존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작년 초 나타나서 최근 가장 많이 언급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기술지능'역량을 들고 있다. 


저자는 삼성경제연구소에서 근무하며 여러 전문경영인들 인터뷰하여 수집한 정보들과 최근의 기술동향 자료들을 정리하여 기술지능을 정의하고, 그 역량을 활용하는 법과 역량을 구축하는 방벙에 대해 안내한다. 저자는 토마스 프레이의 저서를 인용하여 미래를 바꿀 여섯 가지 기술로 자율주행 자동차, 인공지능, 5G 네트워크 기술,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3D 프린팅, 블록체인을 들고 있다. 그렇지만, 이 기술들의 발달과 현재 내가 속해 있는 건설관련 산업영역의 연관관계는 깨닫기가 쉽지 않았다. 그렇지만, 책의 초입부에 등장하는 1200만원 정도의 공사비로 지은 12평짜리 소형 주택은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하루만에 시공을 완료했다는 사례는 향후 건설 프로세스를 바꿀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하게 하였다.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가 발생하게될 산업영역은 주요 기술들의 발달을 통해 기술적 전문가들이 주도하는 기술 성향의 급진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저자는 기술로 역량을 증폭시킬 줄 아는 능력인 기술지능으로 정의 하고 뛰어난 혁신 성과를 창출하는 경영자가 차이를 보였던 감지, 해석, 내재화, 융합, 증폭의 다섯가지 영역의 관점에서  2장부터 6장에 걸쳐 기술지능의 적용을 고찰한다. 기술결합으로 새로운 에너지를 만들고, 역량증폭을 통해 지배력을 높이는 얘기들은 아직까지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생소함으로 인해 아직까진 가까운 얘기로 들리지 않는다.


저명한 미래학자인 토머스 프레이는 2030년까지 일자리가 20억개 이상 사라질 것이며, 한사람이 평생 직업을 8-10개정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고 한다. 대략 13년 후의 얘기지만, 지금까지 지내온 시간을 돌아보면 그다지 긴 시간이 아니다. 이 책에서 조언하는대로 기술지능 역량을 높여 미래에의 준비를 해야할 때인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