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좁아도 홀가분하게 산다 - 작은 공간, 넉넉한 삶
가토 교코 지음, 은영미 옮김 / 나라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은 내집마련의 꿈을 갖고 산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그 집이 컸으면 한다. 이 책에는 작은 집을 잘 활용하며 사는 일본의 8가구의 사례가 소개된다. 


처음 소개되는 5명의 가족은 사택에서 이사를 해야 하는 문제로 인해 27평의 집에서 에서 17평짜리 집으로 옮겼다. 

좁은집으로 옮긴탓에 불편함이 더 많았을텐데 필요한 물건만 있어 여유롭고 편하다던가 청소하기 쉽고 버려지는 공간이 없다던가 아이 돌보기가 쉽다던가하는 장점만을 나열한다.

첫 사례 뿐만아니라 나머지 사례들의 가족들도 좁은 집의 장점들을 열거하고, 그걸 읽는 동안 반박하기가 쉽지 않다.


우선 넓지않은 공간을 불편해하지 않고 현명하고 효율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사례속 가족들에게 감탄하게 된다.


그들이 좁은집을 선택하게 된 이유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집의 위치이다,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도심의 외곽으로 벗어나면 중심지와 비슷한 비용으로 좀 더 넓은 집을 구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책에서 소개되는 가족들은 도심의 생활 편이성, 다양한 문화생활, 아이들 학교와의 거리 등으로 인해 도심지 거주공간을 고르다 보니, 약간은 협소한 집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생각을 바꾸게 된다. 

언젠가 쓸일이 있겠지라고 버리지 않던 물건들을 정리하고, 구매를 할 때 수납을 어떻게 할 것인지까지 고민하고 단일 용도의 제품은 심사숙고하고 가급적 다용도의 제품을 구매한다.

법정스님의 무소유가 생각났다. '무소유'란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 꼭 필요한 것만 가진다는 의미이다. 여기 소개되는 가족들이 그걸 스스로 깨닫고 실천하는 이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30평대 아파트에 4명이 거주중인 나도 초등학교 입학전까지 방 두칸짜리 집에서 6명의 식구가 살았던 기억이 있다. 

그렇지만 그때보다 지금이 더 행복한지를 묻는다면 쉽게 대답하기 어렵다. 집이 넓어진 탓에 각자의 공간이 생기면서 가족 구성원들간의 대화는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집의 넓이가 아니라 누구와 같이 사는지이며 구성원들이 어떻게 행복감을 느끼는지가 중요하다는 걸 새삼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