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미술기행 - 인간과 예술의 원형을 찾아서
편완식 지음 / 예담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아프리카 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뭔가 베일에 싸여 감춰진 듯 하면서도 원초적인 어감에 끌려 책을 보게 되었다.

이 책은 저자가 두명의 화가와 떠난 아프리카 미술 기행문이다.
미술에 대한 경험이라고 해 봐야 예전 국민학교다닐때 사생대회를 나갔던 것외에는 별다른 경험도 없고 지식도 없는 탓에 사전지식이 많이 부족한 편이라 내심 걱정 했지만, 그것은 기우였다.
모르는 작가들의 작품이었지만, 그 네들이 즐기는 독특하면서도 강렬한 분위기에 심취되어 갔다. 작가가 보여주는 사진과 그림을 따라가다보면 어느새 책은 끝나게 된다.

책중에 탄자니아의 노화가인 존 다 실바의 얘기가 뇌리에 남는다. 그는 아프리카의 미술을 아프리카 대륙의 미술로 한정짓는것을 거부한다. 그것은 서구가 규정한 아프리카 미술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족 사람들이 나이키 신발을 신고 휴대전화를 사용하는것을 보고 놀라거나 마사이족의 변화를 서글프게 바라보는 이유가 우리 스스로가 아프리카를 고정관념에 넣어두려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문명의 이기를 활용하며 그들은 이용하지 않기를 바라는 너무 이기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생각 때문에 그들은 우리의 그런 생각을 거부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작가가 퉁가족과 만나 물물교환시 느꼈던 , 너무 많이 소유하고 있다는 느낌은 우리들이 알게모르게 많이 소유하고 있다는걸 느끼게 해준다. 어쩌면 물리적인 물건들은 우리가 많이 갖고 있을지 모르지만, 자연 친화적인 깊은 생각이나 그들의 마음은 우리가 따라가지 못할 만큼 넓을것 같다는 생각도 해본다.
아프리카 중서부에서의 버스 승차체험은 아프리카 사람들만의 여유를 느끼게 해준다. 빨리 빨리 문화에 익숙한 우리로서는 적응하기 어려운 부분이겠지만, 가끔은 그들처럼 여유로움을 느껴가며 살아보는것도 괜찮을 듯 하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석양은 꽃잎지듯 가슴 시리도록 슬픈 아름 다움을 보여주며 무딘 가슴을 여미게 한다고 한다.
이 책에서의 미술도 미술이지만, 아프리카의 풍경 사진들은 감탄을 불러 일으킨다. 나이로비의 석양이나 킬리만자로의 눈 사진등은 자연의 품에 안겨 편히 쉬고 싶은 욕망을 불러 일으킨다.

익숙하지 않은 지명과 아프리카에 대한 지리 지식이 없는 관계로 그들의 여정이 어땠는지 잘 모르겠다.
책 말미에 그들의 여정을 아프리카 지도와 같이 친절히 표기해 두었다면, 좀 더 그들의 여행경험을 공유하는데 더 도움이 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은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