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0호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신문의 창간을 위해 편집자와 기자들이 모여 창간 예비호인 <제0호> 신문을 준비한다.

얘기는 신문의 편집장을 맡게되는 콜론나가 진행하며, 신문의 창간을 주도하는 시메이 주필과 6명의 기자가 두 달 동안 창간예비호를 어떻게 만들지 준비하는 과정들이 그려진다. 다만, 이 신문은 콤멘다토르 비메르카테라는 자본가의 지원으로 만들어 지며, 그의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해 만들어지는 신문이라 실제로 발간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 사실은 화자와 주필만 알고 있으며, 기자들은 모르는 상황이다.

전반적으로 기자들 끼리의 회의 장면이 많이 나와 대화체 형식의 글들이 많은 편이다.


실제로 이탈리아에 이런 기자들이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최근 인터넷에서는 우리나라의 몇몇 기자들을 '기레기'라는 용어로 폄하하는 글을 보기도 했는데, 이 책을 읽으며 몇 몇 장면에서는 등장인물에게 그 단어를 사용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많은 분들이 <장미의 이름>을 통해 움베르토 에코를 알게되었을 텐데, 나 또한 그 작품으로 에코를 알게 되었고, 그 책을 볼 때의 느낌을 갖고 읽기 시작했지만, 완전히 다른 분위기의 책이었다. 처음은 음모론을 내포한 듯 스릴러물과 유사하게 시작하지만, 전반적으로 신문에 어떤 내용을 실을지에 대한 토론이 유쾌하게 진행되어 빠르게 읽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문이라는 특성 탓에 거론되는 일부 정치적인 얘기들은 서양 역사에 관심이 없던 탓에 일부 정확히 이해할 수 없는 부분도 있었다.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에코가 왜 위대한 작가인지를 새삼 깨달을 수 있었고, 나도 글을 써볼까라는 창작 욕구와 이탈리아로 여행을 가보고 싶다는 방랑 욕구가 생겼다. 에코의 책에서 이제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되었는데 이 책이 움베르토 에코가 췌장암으로 사망할 것을 알고 출간한 마지막 소설이라는 점이 많이 아쉽다. 아직 접해보지 못한 다른 에코의 책들을 찾아 그의 또다른 세계를 느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