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2년생 김지영 ㅣ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82년생인 나에게는 정말로 김지영이란 이름을 가진 친구가 있다. 그뿐인가. 사실 김지영이란 이름의 동생도 있고, 언니도 있다. 이 책의 주인공 지영이는 내 친구이자, 동생이자 언니이며 동료이고
결정적으로 바로 내 모습이다. 소설책을 읽으면서 이렇게 공감하기 쉽지 않은데, 구구절절 내 이야기란 생각을 했다.
82년생인 나는 위로 두 살 위 언니가 있으며, 아래로 남동생이 있다. 딸이라고 차별받고 자란 것은 아니지만 남동생이 막내라는 이유로 받은 소소한 특혜들을 당연하다 여기며 자랐고, 만약 내가 아들이었다면 엄마는 셋째를 낳지 않았겠단 생각을 많이 했다.
82년생인 나는 여중, 여고를 다니는 동안 학교 근처에서 일명 바바리맨이라는 변태 남성들을 심심치않게 보았다. 내 친구 중 한명은 고등학교 때 야간자율학습을 마치고 정문에서 아빠를 기다리고 있는데 길 건너편에서 낯선 아저씨가 만원짜리 몇 장을 흔들며 이리 오라고 같이 놀자고 하기도 했다.
82년생인 나는 문과 출신 여자가 취업한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어리석게도 대학 졸업반이 되어서야 알았다. 높은 학점과 토익점수만으로는 불가능한 세상이 있었으며, 일명 훨씬 부족한 스펙에도 척척 취업이 되는 남자선배들이나 동기들의 일화는 흔한 것이었다.
82년생인 나는 작년에 딸아이를 낳았으며, 육아휴직을 마치고 복직한 워킹맘이다. 지영이처럼 주변에 육아 도움을 주실 양가 어른들은 다른 지방에 사시고, 오로지 남편과 나 둘만이 20개월이 된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며 겨우겨우 키우고 있다.
82년생인 내 친구는 첫째는 걸리고, 둘째는 아기띠를 하고 스타벅스에서 산 커피를 마시며 걸어가다가 남편 돈으로 된장녀 노릇하는 여자들이 문제라는 말을 들었다. 그들은 웃으며 요즘 엄마들이 문제라며, 젊은 엄마들이 문제라고 큰소리로 말했다.
평정심을 갖고서 책을 읽다가 지영이가 아이를 낳고 손목이 아파 정형외과에 간 이야기를 읽으며 눈물이 났다. 내가 갔던 병원에서도 당연히 아프다. 애 낳고 나면 아프다. 손목을 최대한 덜 쓰세요라고 사무적으로 말했었다. 의사 잘못은 아니지만 참. 출산과 육아라는 고통은 왜 이리도 당연하게 여겨지는 걸까. 왜 아무도 나에게 말해주지 않았던 걸까. 그저 참아야 한다고, 시간이 약이라고, 나약하고 별난 엄마 취급을 받은 거 같아 내가 괜히 부끄러웠다.
내 딸이.. 2015년생인 내 딸이 살아갈 시대는 내가 살아온 것보다 더 나으리란 확신을 가질 수 없다. 하지만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조금씩 달라지지 않을까. 그런 미래를 위해, 나는 당당하고 행복한 엄마로서, 직장인으로서 살고 싶다. 누가 뭐래도 나는 내 딸에게 첫 번째 여자로서 롤모델일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