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 달리다
심윤경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짜 이 작가가 심윤경이 맞나 싶었다. <달의 제단> <나의 아름다운 정원> 을 쓴 그 작가가 맞나? 일단 표지에 실린 사진부터 전혀 다른 사람 같았다. <달의 제단> 앞날개에 있는 작가는 순박해 보이는 공부 잘한 모범생처럼 보였는데, 이 책의 저자 사진은 세련되고 감각적인 표지만큼이나 전형적인 중산층 멋부린 아줌마같이 보인단 말이지. 암튼 소설 내용도 참 많이 변했다. 그치만 그녀는 여전히 참 잘쓴다. 원래 그녀의 소설을 좋아했지만, 음 참 대단한 작가다.


주인공 혜나가 달리는 것처럼,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나도 한밤의 달리기를 한 것마냥 급하게 달렸다. 책장이 너무 후딱 넘어갔고, 혹시 내가 놓친 문장이 있나 싶어 천천히 다시 한 번 읽어볼 정도였다. 숨이 차게 달렸지만, 너무너무 재밌었다. 별거 아닌 표현들... 예를 들면 배가 너무 고파 큰오빠라도 잡아먹을 태세였다 같은 표현에 나 혼자 이상할 정도로 크게 웃으며 낄낄거렸다. 이런 반짝이는 유머 덕분에 재밌게 신나게, 지치지 않고 달릴 수 있었다.


돈과 가족관계에 대한 그런 흔한 이야기는 그렇다 치고, 두 올케를 통해 드러나는 현대의 욕망 같은 것들도 재밌었다. 자녀 교육에 올인하고 시부모님를 비롯한 가족 간의 관계에서도 경제적인 이익이 우선인 그녀들의 노골적인 욕망들. 또 의대에 갔어야 했다고 후회하는 공대 출신 대기업 과장 성민의 울분이나 저축은행 얘기도 그렇고, 여러 모로 우리 사회의 단면을 유쾌하게 담아낸 것도 흥미로웠다. 


무엇보다 나도 혜나처럼 정욱연 원장에게 반할 수밖에 없었는데, 개인적으로 이 소설이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지면 얼마나 더 재밌을까 상상하며 읽었다. 정욱연 원장 역할은 어느 배우가 해야 어울릴까 이 생각을 하며, 더 재밌게 열심히 달렸다. 


사실 돈이 있으나 없으나, 가족은 언제나 가장 마지막까지 남는 구질구질한 삶의 바탕이다. 이 소설이 돈 펑펑 쓰다가 돈줄 끊긴 졸부 가족의 이야기라면, 천명관의 소설 <고령화 가족>은 가난한 가족의 비슷하게 찌질한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짜증나고 원망스럽지만, 결국 그 안에서 우리는 함께 웃고 울고 싸우고 화해하며 그렇게 살아간다. 자를 수도 없는 핏줄이라는 이 지긋지긋한 관계, 결국 행복한 가정이란 환상은 없는 거고, 그저 그 모순 같은 현실을 인정하고 그냥 살 수밖에 없는 것. 별 수 없다. 용감하고, 솔직하게 사는 것일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