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ㅣ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5
이권우 지음 / 그린비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나는 책벌레라고 불리지는 않지만(또 그렇게 불리기를 바라지도 않지만), 주위 사람들에게 '책 많이 읽는 사람'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 사람들의 인식은 지극히 상대적인 거라서, 내가 손사레를 치며 아니라고 해도 별 소용이 없기에, 나름 그런 평가를 즐긴다고 해도 될 것 같다. 내 주위만 봐도 일 년에 책 한 권을 읽지 않는 친구들이 수두룩하고, 책을 돈 주고 사는 일이 익숙하지 않은 친구들은 그보다 더 많으니까. 어떨결에 책 좋아하는 문학소녀로 찍힌(?) 이후, 쭉 그 이미지를 고수하며 살고 있다.
하지만,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으려고 노력하고 도서관과 서점 다니는 걸 무엇보다 좋아하지만, 과연 책을 바르게 읽는 법은 어떤 것이고, 어떤 책이 좋은 책이냐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 친구들이 읽을만한 책을 권해달라고 할 때마다 난감한 이유가 그것이다. 나는 재밌게 읽었고, 감격까지 받았다고 해도, 그건 내 주관에 불과한 것이라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고, 적어도 내 생각에 책을 읽는다는 것은 단순히 해당 내용을 읽어내고, 내 머릿속에 '지식'으로서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내 가치관과 신념 같은 내 인생 전체가 독서란 행위를 통해 저자와 만나서 또 다시 경험하는 새로운 세계이기 때문이다. 말로 하고나니 거창한 표현이 되었지만, 책을 쓰는 것, 즉 글을 쓰는 일은 단순한 지식의 나열, 감정의 나열이 아니라 그 저자, 그 한 사람의 모든 것이 투영되는 행위다. 마찬가지로 읽는다, 라는 것도 이와 같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책에도 나오지만 책은 '보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책을 읽는 건, 흔히 나도 취미가 독서라고 말하고 다니긴 하지만, 그렇게 말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 같다. 영화를 보고, 뮤지컬을 보고, 연극을 보는 것이 취미가 될 수는 있지만 과연 책을 '읽는' 것이 취미일 수 있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공감했던 부분은 독서를 통한 이해력의 증대에 관련된 부분이다. 내가 미처 직접 겪어보지 못한 감정과 아픔들을 책을 통해 이해하고 느끼고, 같이 아파해야하는 것이 독서의 주요 목적이 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즐거운 책읽기' 라는 것은 어려운 게 아닐까 싶은데, 책을 통해 접하는 새로운 세상, 우리 사회의 부조리를 꼬집고, 소외를 대변하고, 문제인식을 제기하고, 주류에 대한 비판을 펼치고, 그런 모든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읽으면서 우리는 새로운 세상을 만난다. 그리고 안다는 것, 이해한다는 것은 고통을 동반하게 마련이다. 지금껏 몰랐던 것들을 깨쳤을 때의 고통은 물론, 진정한 이해와 공감은 가슴 아프게 하고, 분노하게 하고, 안타깝게 하기 마련이다.
이런 고통스런 독서를 통해, 사람들은 보다 근본적인 것, 보다 중요한 것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고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고민들은 하나의 정답을 알려주진 않지만, 함께 고민을 하고 고민을 나누고 이해하는 그 모든 과정이 우리를 보다 성숙하고 행복하게 하며, 나아가 우리 세상을 보다 사람답게 만든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책 정말 재밌게 읽었어." 또는 "이 책 술술 읽혀."가 책에 대한 최고의 감상평이 될 수는 없다. 나를 더 괴롭히고, 나를 더 깨우치고 싶게 만들고, 나를 더 생각하게 만드는 고통스럽고 잔인한 독서를 위해, 조금더 기운을 차려야할 때다. 더 열심히, 더 천천히, 더 깊게 읽으면서 더 많이 느끼고, 더 많이 생각하고 싶다.